
20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5 한국금융미래포럼'에서 김준환 신한금융 금융AI센터장 상무가 'AI에이전트 시대, 한국 금융산업의 혁신모델'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금융신문
이미지 확대보기20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5 한국금융미래포럼' 강연자로 나선 김준닫기

김 상무는 "신한이 AI 경쟁력을 가지려면 충분한, 양질의 데이터와 워크플로우(Workflow, 작업 흐름)를 확보하고 서비스를 잘해야 한다"며 "챗 지피티(gpt)에서 학습할 수 있는 공개 데이터는 다 고갈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내부에 있는 퍼스널(개인) 데이터가 굉장히 중요해졌다"며 "AI 성능 핵심은 양질의 데이터, 고객과 상호작용으로 생성된 내부 데이터를 잘 관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아무리 뛰어난 AI라도 맥락과 흐름을 이해하기 어렵다"며 "업계 전문가들과 협력해 워크플로우를 잘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챗 지피티와 같은 외부 에이전트가 우리를 불러줘야 한다"며 "슈퍼 에이전트한테 선택받는 것도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 신한은 고객과 직원 모두를 위한 AI를 준비 중"이라며 "전체 금융 서비스를 AI 에이전트를 통해 완결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으며 현재 그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슈퍼 솔(Super SOL) 내 AI 에이전트 전략에 대해선 "고객이 앱 화면을 눌러 탐색하는 것을 에이전트화해야 하며, 외부 에이전트를 위해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야 한다"고 답했다.
영업점에 대해선 "고객 접점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수익성이 높은 상품도 영업점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다"고 했다.
그는 "현재 신한은 AI로 작동되는 조직으로 가고 있다"며 "AI 심사역 및 감사역, 마케터가 배치되고 자동화 및 지능화돼서 직원들은 더 전략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집중시키려고 한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홍보팀일 경우 기존 회사를 홍보하고 메시지를 내는 팀이었다면, 앞으로는 AI가 학습하기 좋은, AI가 선택할만한 메시지를 골라 홍보해야 하는 식이다.
신혜주 한국금융신문 기자 hjs050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