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LH가 검단 아파트처럼 지하주차장에 무량판 구조를 적용해 발주한 아파트 91개 단지를 전수 조사한 결과, 아파트 단지 15곳의 지하주차장에 전단보강근이 제대로 설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5곳 중 10곳은 구조 계산이 제대로 되지 않았거나 설계 도면이 잘못돼 있는 등 설계 미흡으로 전단보강근을 빠뜨린 것으로 조사됐다. 5곳은 시공 미흡이 원인이었다.
무량판 구조는 수평으로 무게를 지탱하는 보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과 기둥만 있는 형태다. 무량판 구조에서는 천장을 떠받치는 기둥이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전단보강근을 설치해야 한다.
지하주차장에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91개 LH 발주 단지 중 이미 준공된 단지는 38개(38%), 공사 중인 단지는 56개(62%)다.
이번 문제를 확인한 곳 중 5곳은 이미 입주를 마친 상태다. LH는 입주가 이뤄진 단지 4곳에서 정밀안전점검을 추진 중이며 보완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단지 1곳은 현재 보완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아직 입주 전인 단지 10곳 중 6곳은 보완 공사 중이다. 나머지 4곳도 입주 전 보완 공사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특히 경기도 남양주의 공공분양 아파트에서도 지하주차장 전단보강근 16개 중 15개가 빠져 있었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지난해 4월 입주를 시작해 이미 입주민이 살고 있는 만큼 LH는 긴급 보강 공사를 진행 중이다.
이날 원희룡닫기

이어 원 장관은 “무량판 구조로 설계·시공하면서 전단보강근 등 필수 설계와 시공 누락이 생기게 한 설계와 감리 책임자에 대해 가장 무거운 징계 조치와 함께 즉각 수사 의뢰, 고발 조치를 해 달라”고 LH에 지시했다.
관련해 이한준 LH 사장은 “15개 단지의 설계·감리가 언제 발주됐고, 여기에 관여된 사람은 누구인지 조사해 한치의 의혹도 남지 않도록 관련자가 책임지게 하겠다”고 말했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