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이달 중 중앙회에 '금융재기지원 종합상담센터'를 설치하고 개별 저축은행의 채무조정 업무를 지원한다. 센터에서는 각 저축은행에 상담메뉴얼·팜플렛 등을 제공하고 상담직원 교육, 종합 금융지원정보 홈페이지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이외에도 정책금융상품·공적 채무조정제도 등 다른 기관 지원제도까지 종합 안내한다. 개별 저축은행에는 '금융재기 지원 상담반'이 설치된다. 고객은 이를 통해 필요한 금융지원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중앙회는 자체 채무조정으로 인해 부실이 발생하더라도 담당 임직원을 면책하는 내용을 표준 규정에 반영한다. 채무조정심의위원회를 대표이사가 아닌 임원·부서장으로 구성하고, 대환대출 취급 시 이사회 대신 대표이사가 승인 가능한 상한선을 기존 1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상향한다.
카드 결제예정금액과 카드론 정보도 세분화해 제공된다. 상세 결제 내역 등을 토대로 고객의 소비내역과 습관을 분석해 상환 능력 내 카드 사용과 연체 방지, 절약 목표 설정 등 스마트한 소비를 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존에는 신용판매와 현금서비스에 대한 카드 결제예정금액은 합산금액으로만 제공됐다. 카드론 관련 정보도 상세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정밀한 지출 분석이 어려웠다.
앞으로는 구체적인 정보가 제공될 예정이다. 가령 A씨가 마이데이터 앱에서 이번 달 의류비 지출이 20% 증가, 할부 비중이 높아 다음 달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것이 좋겠다는 조언을 받고 지출 습관을 점검하게 된다는 것이다.
카드 결제예정금액의 경우 ▲일시불 ▲할부 ▲현금서비스 ▲리볼빙 ▲연회비 등 세부내역이 제공된다. 카드론은 ▲건별 상환금액 ▲원금·이자 잔액 ▲거래일시·금액 등이 제공된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