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대표이사 유영상)이 군용 드론의 작전 반경을 확대하기 위한 통신 중계 드론 개발에 나선다. 사진은 (왼쪽부터) 나경환 SKT 엔터프라이즈솔루션본부장, 김정훈 펀진 사업전략본부장, 김규훈 코난테크놀로지 국방AI사업부장, 김태연 콘텔라 MTS사업부문장, 김태훈 플랙토리 대표이사. / 사진=SKT
이미지 확대보기
SKT는 펀진,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 등 4개 기업과 통신 중계 드론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통신 중계 드론은 통신이 어려운 지역에서 무선통신을 이어주는 중계기 역할을 하며 공격·정찰용 드론의 작전 반경을 넓히는 핵심 기술이다.
기존 군에서 사용하는 이음 5G 주파수 기반 중계 시스템은 고주파수 특성상 작전 반경이 제한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상용망의 800MHz 등 저주파를 활용해 전파 도달 거리와 회절성(꺾이는 성질)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 복수의 드론 간 ‘핸드오버’ 기술을 적용해 통신 중계 드론 한 대가 격추되더라도 통신이 끊기지 않도록 안정성을 확보한다. 핸드오버란 이동통신망에서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의 서비스 공간에서 다른 기지국의 서비스 공간으로 이동할 때 단말기가 다른 기지국의 통화 채널에 동조해 끊김 없이 서비스하는 기능이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기업들은 각자 전문 영역에서 핵심 기술을 제공한다. SKT는 무선 회선과 실시간 영상 관제 시스템 ‘T라이브캐스터’를 통해 드론 실시간 영상으 후방 드론 조종사에게 전송한다.
국방 버티컬 AI 전문기업 펀진은 드론 무선 품질 측정과 AI 기술을, 인공지능 전문기업 코난테크놀로지는 엣지 전술 장비를, 이동통신 장비업체 콘텔라는 위성통신 기반 이동기지국을, 5G 특화망 전문기업 플랙토리는 이음 5G 코어 및 통신장비를 담당한다.
김경덕 SKT 엔터프라이즈사업부장은 “이번 사업협약을 계기로 각 사의 독보적인 솔루션에 기반한 군 통신 중계 드론을 구현해 드론의 작전 반경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상용망 기술을 군 통신에 적용해 국방 역량 강화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