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 셰이퍼(Will Shaffer) 보잉코리아 사장은 2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75년간 보잉은 한국과 신뢰, 열정을 바탕으로 함께 성공과 성장을 이뤄왔다"며 "앞으로 보잉은 한국의 첨단 기술과 세계적 수준의 인재를 기반으로 항공우주 미래를 함께 개척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셰이퍼 사장은 한국을 보잉의 핵심 전략 시장으로 꼽으며 "한국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인공지능(AI), 엔지니어링, 자동화뿐만 아니라 조선업과 자동차 제조에서 이미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러한 혁신성을 활용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2027년까지 글로벌 방산 4대 수출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며 "보잉 역시 한국 정부 및 산업계와 협력해 고객사 지원뿐만 아니라 사업을 키워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잉코리아는 현재 약 300명의 임직원을 두고 있다. 이 중 100여명이 서울 아셈타워에 위치한 보잉한국기술연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다.
셰이퍼 사장은 "연구센터는 설립 5년 만에 100명 이상 엔지니어 조직으로 성장했고 내년까지 인력을 20% 늘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협력사와 긴밀한 파트너십을 강조하며 "2024년 기준 약 3억2500만 달러를 한국 시장에 투자했다"며 "상용기 생산 증대에 따라 투자 금액은 더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보잉은 지난 1950년 DC-3 항공기와 F-51D 전투기 납품을 시작으로 한국 시장에 들어왔다. 민항기 시장에서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군수 분야에서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화, LIG넥스원 등과 협력하고 있다.
신혜주 한국금융신문 기자 hjs050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