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 한국금융신문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장보다 54.48p(1.67%) 오른 3,314.53p에 장을 마감했다.
이는 2021년 7월 6일(3,305.21p) 이후 4년 2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 경신이다.
이날 장중 최고치는 3,317.77p로, 종전 장중 최고치(2021년 6월 25일, 3,316.08p)도 경신했다.
시가총액도 사상 최대치인 2,727조원을 기록하며 2021년 7월 6일 대비 410조원 이상 늘었다.
2025년 코스피 상승률은 +38%로, G20 국가 중 1위를 기록했다.
9월 상승률도 한국(1~10일)이 +4.0%로 1위를 기록 중이다. 지난 9일 기준 미국 +11%, EU(유럽연합) +10%, 일본 +9% 등이다.
거래소는 "4월부터 이어온 증시 상승세가 8월 한 달간 관망세를 보였으나, 최근 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에 대한 의지가 재부각되며 투자 심리가 개선되는 모습이다"고 판단했다.
특히, 최근 증시 상승을 주도하였던 외국인이 9월 들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전기·전자 업종에서 2조6000억원 규모 순매수로 전환했다.
관세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된 가운데, 미국 경제지표 부진으로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확대된 요인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역대 코스피 최고치 경신 요인을 보면 1989년 1,000p 돌파는 3低(저유가·저금리·저환율) 영향, 2007년 2,000p 돌파는 적립식 펀드 열풍, 2021년 3,000p 돌파는 동학개미 운동이 꼽힌다.
이번 최고치 경신은 새정부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 기대감 및 대내외 투자환경 개선 요인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거래소는 "대내외 불확실성 완화 시 추가 랠리가 기대되며, 주주이익 보호를 위한 자본시장 제도 개선 및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 재개 시 증시의 상승 분위기가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했다.
이어 거래소는 "한편, 미중(美-中) 무역갈등 등 관세 관련 불확실성과 미국 경기침체 우려가 심화될 경우 투자심리가 위축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