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카캐피탈 사모 회사채 발행 내역(단위: 억원)./출처=금융투자협회
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케이카캐피탈은 이날 300억원 규모 공모 회사채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 나선다. 만기는 1년6개월물(200억원)과 2년물(100억원)으로 구성됐으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대 600억원까지 증액 발행한다.
희망금리밴드는 1년6개월물 4.4~5.0%, 2년물 4.7~5.3%로 각각 제시됐으며 조달된 자금은 전액 운영자금(중고차 할부금융 등)에 쓰인다. 대표주관 업무는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이 공동으로 담당한다.
케이카캐피탈은 중고차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케이카를 통한 할부금융이 주 수익원이다. 지난 2018년 설립 이후 케이카에 대한 의존도가 지속 확대되면서 몸집도 커졌다. 할부금융을 제외한 여타 매출이 없는 만큼 향후 케이카 실적이 수익성과 재무안정성 등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현 상황에서 케이카에 대한 의존성을 낮추는 방법은 조달비용을 낮추는 것이다. 최대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해 할부금융을 제공하면 이자마진이 확대된다. 그 동안 케이카캐피탈은 자산유동화증권(ABS), 사모 회사채, 금융기관차입 등으로 조달비용을 관리해왔고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
한편, 발행사가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는 간다고 가정했을 때 가장 유리한 자금조달 방법은 공모다. 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더 많은 자금조달에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을 지불한다.
케이카캐피탈이 처음으로 공모 회사채 시장 문을 두드리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특히 등급전망이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예상보다 우호적인 결정 금리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지난 5일 기준 1년 6개월물 BBB0급 회사채 민평금리 평균은 5.76%, BBB+급 평균은 4.96%다. 2년물은 BBB0급 평균이 6.64%, BBB+급 평균은 5.69%다. 두 등급간 금리차가 80~100bp(1bp=0.01%포인트)를 보이는 만큼 등급 상승은 조달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를 케이카캐피탈이 제시한 희망금리밴드(1년6개월물 4.4~5.0%, 2년물 4.7~5.3%)와 비교해보면 한 단계 등급이 높은 BBB+급 평균보다 낮은 수준의 금리를 기대하는 눈치다. 여신전문채권(여전채) 시장 금리와 비교하면 더욱 두드러진다. 여전채 시장에서는 BBB+급보다 한단계 높은 A-급의 1년 6개월물 민평금리 평균은 4.49%, 2년물은 4.75%다.
아직 BBB+로 상향 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A-에 근접한 수준에서 평가해 달라는 메시지다. BBB0급이 6.5~7%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공격적인 제안이다.
‘A급’ 금리 근거로 제시한 부분 중 하나는 사모채다. 케이카캐피탈은 올해 8차례 사모채(1년 6개월물)를 발행해 총 1060억원을 조달했다. 각 발행시기별 금리 분포는 4.8~5.52% 였으며 지난 5월 이후 금리(4.8~5.05%) 하락이 두드러졌다.
케이카캐피탈이 사모 시장에서 조달한 금리 수준을 보면 이번에 제시한 희망금리밴드가 공격적이라고 하기도 어렵다. 그러나 사모 시장은 공모 시장과 달리 정보가 공개되지 않고 거래 투명성이 낮아 100% 신뢰가 어렵다. 또 사모채 발행은 공모채 대비 규모가 전반적으로 작아 단순 비교도 쉽지 않다.
또 다른 변수는 다름 아닌 신평사다.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케이카캐피탈의 신용등급 전망을 발표하는 과정에서 정량 평가 기준을 제시하지 않았다. ‘영업기반 안정성 제고’, ‘수익성과 재무건전성 유지’ 등 모호한 표현을 사용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영업기반 등 개선이 되는 부분도 있지만 높은 단기차입비중, 1개월 이상 연체율 및 고정이하여신비율 증가 등 부정적인 부분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케이가 매각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인수주체에 따라 케이카캐피탈이 분리매각될 수도 있다는 점은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운용역은 “신평사들이 등급조정 등에 대한 명확한 정량 기준을 제시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예측이 불확실하거나, 경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거나, 발행사와 관계(트리거 기준 논란) 등을 고려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케이카캐피탈이 기존 사모채 발행과 비교해 만기를 크게 늘리지 않은 만큼 소화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보다는 금리가 어느 수준에서 결정되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성규 한국금융신문 기자 lsk060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