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신균 LG CNS 사장(왼쪽 두번째)과 빌쳉 시나르마스 그룹 계열사 에스엠플러스(SM+) 회장(왼쪽 세번째) 등이 계약체결 후 기념촬영하는 모습. / 사진=LG CNS
이미지 확대보기LG CNS는 인도네시아 재계 서열 3위인 시나르마스 그룹과의 합작법인 ‘LG 시나르마스 테크놀로지 솔루션’을 통해 인도네시아 ‘KMG’와 이번 AI데이터센터 구축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자카르타에 10만대 이상의 서버를 한꺼번에 수용하는 지상 11층(연면적 4만6281㎡), 수전용량 30㎿(메가와트) 규모 AI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KMG는 1단계 구축 사업 이후, 총 수전용량을 220㎿까지 확장해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만들 계획이다.
KMG는 시나르마스 그룹과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과의 합작법인으로 AI데이터센터 개발을 추진해왔다.
LG CNS 관계자는 "시나르마스는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낙점하고, 한국의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사업을 선도하는 LG CNS를 파트너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LG CNS는 지난해 KMG와 AI데이터센터 구축 컨설팅 및 설계 사업 계약 체결을 바탕으로 본 사업까지 따내게 됐다. LG CNS는 본 사업을 통해 1000억원대 규모의 냉각 시스템·전력·통신 등 인프라 사업을 총괄한다.
LG CNS는 이번 AI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 ‘원(One) LG’ 통합 솔루션을 적용한다. 자사의 데이터센터 설계·구축·운영(DBO) 사업 역량과 LG전자의 데이터센터 냉각 기술,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솔루션 등 그룹 내 핵심 역량을 총동원한다.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을 적용한다. 공기를 순환시켜 내부 온도를 낮추는 전통적인 공랭식 냉각 시스템과 냉매를 활용해 서버를 직접 냉각시키는 액체 냉각 시스템을 함께 도입한다.
LG CNS는 최대 130㎾(킬로와트)에 달하는 고집적 랙(Rack)을 차질 없이 지원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도 구축한다. 이는 일반적인 데이터센터 랙 한 개에 필요한 전력량의 24배 수준이다. 인프라 이중화를 통해 주전원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예비전력을 바탕으로 24시간, 365일 무중단 운영 체계도 갖춘다.
여기에 데이터센터 내 환경에 맞춰 온·습도 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친환경 공조 시스템을 구축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다. 최고 등급의 내진설계를 적용해 안전성을 높이고, 로비층은 필로티 구조로 설계해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침수 피해를 차단한다.
현신균 LG CNS 사장은 “LG CNS의 데이터센터 역량을 결집해 고객가치를 혁신할 최첨단 AI데이터센터를 구축하겠다”며 “이번 사업을 발판 삼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지역으로 AI데이터센터 사업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