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거래된 49만 252가구의 아파트 중 30대 매입 비중은 26.6%(13만973건)으로 집계됐다. 이어 40대가 12만8920건(26.2%), 50대 10만5013건(21.4%)으로 나타나면서 3040세대의 비중이 52.8%로 조사됐다.
교육환경은 주택 선택의 핵심 요인으로, 지역 내 명문 학교와 학원가가 밀집된 학군지의 선호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의 대표적인 학군지는 강남 대치동, 양천구 목동, 노원구 중계동이지만, 지방에도 이에 못지않은 학군지가 주목받고 있다. 부산 동래구, 대구 수성구, 대전 서구, 광주 남구 등이 있으며, 이들 지역의 단지들은 지역 내 평균 집값을 크게 웃돌고 있다.
특히 지방의 경우 최근 의대 증원 소식이 전해지면서 명문 학군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지방 의대 26개 학교는 2025학년도 지역인재전형(비수도권 대학이 있는 권역에 소재한 고등학교를 3년 동안 다닌 학생만 지원할 수 있는 제도) 선발 인원은 지난해 평균 50%에서 59.7%로 늘리기도 했다.
학군지 중심으로 주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들 지역의 입지적 가치가 더욱 주목받고 있는 분위기다.
실제로 부동산R114에 따르면, 부산의 전통 학군을 품은 동래구의 경우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이 1553만원으로 부산 평균(1403만원)보다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 수성구와 광주 남구는 3.3㎡당 각각 1628만원, 1184만원으로 대구와 광주에서 자치구 중 제일 비싸며 대전 서구도 1354만원으로 대전 평균(1262만원)보다 웃도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명문학군은 교육을 중시하는 3040세대에게 최우선 선택지가 될 수밖에 없다"며 "이들 지역은 교육환경과 생활 인프라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 앞으로도 꾸준한 수요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 가운데, 학군지 주변에서 분양하는 새 아파트가 눈길을 끈다. 에쓰앤디가 시행하고 반도건설이 시공하는 ‘동래 반도유보라’가 오는 3월 분양한다.
부산 동래구 낙민동 일대에 위치한 해당 단지는 지하 3층~지상 42층, 3개동, 전용 84㎡, 총 400가구로 구성됐다. 부산 지하철 동해선 동래역·4호선 낙민역·1호선 교대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어 대중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
단지 인근에 낙민초, 동신중, 동래고, 학산여중·고 등이 있어 자녀들의 교육환경이 우수하다. 게다가 동래구 사직동과 명륜동 학원가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 온천천 시민공원과 수민어울공원, 낙민공원 등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