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은 2024년 3분기 매출액이 6조8778억원, 영업이익은 4483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발표했다. 2023년 3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6.3% 줄고 영업이익은 38.7% 감소했다.
작년 3분기는 '전기차 캐즘' 여파가 본격화적으로 미치기 직전이다. 이번 실적은 비교적 선방했다고 평가된다. 시장 전망치보다 매출은 2%, 영업이익은 6.7%를 상회했기 때문이다. 실제 잠정실적이 발표되고 주가가 4% 급등하기도 했다.
긍정적인 소식도 함께 발표됐다. 회사는 메르세데스-벤츠 계열사와 북미를 중심으로 하는 배터리 공급 계약을 전날 체결했다고 8일 공시했다. 업계에 따르면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인 '46파이'를 10년간 50.5GWh 규모로 공급하는 대규모 계약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고객사와 비밀유지 협의에 따라 추가적인 내용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했다.
벤츠는 CATL 등 중국 배터리를 선호해온 대표적인 업체다. 국내에서는 더 저렴한 파라시스 배터리를 탑재했다가 인천 주차장 화재 사건 이후 뒤늦게 알려져 구설수에 휘말린 바 있다.
앞서 지난 상반기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ESS 시장에서 조단위 규모의 ESS(에너지저장장치)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성과도 냈다. 미국 ESS 시장은 이미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업체가 장악한 상태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 장벽을 세우는 기조 속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반사이익을 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다.
물론 불안한 점도 있다. 이번 3분기 실적에도 미국 IRA(인플레이션감축법)의 AMPC(첨단제조생산 세액공제)에 따른 보조금 혜택이 4660억원 반영됐다. 이를 제외한 실질적인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은 마이너스 177억원이다. 올해 2분기(적자 2525억원)보다 줄어든 수치지만 3개 분기 연속 실질적인 적자 상태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실적을 지탱하고 있는 IRA 보조금이 지속가능할까에 대한 우려가 있다. IRA 핵심 목표는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미국내 투자 유치와 일자리 창출이다. 미국의 이익을 위한 법안으로 한국 기업에 대한 혜택이 커지는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까 하는 걱정이다. 다음달에는 미국 대통령 선거라는 이벤트도 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기후변화를 부정하는 도널드 트럼프닫기

김동명닫기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