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8일 홍콩 금융관리국 Arthur Yuen(아서 위엔) 부청장을 만나 양국의 금융협력 확대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왼쪽부터 김소영 부위원장, Arthur Yuen 부청장. / 사진제공= 금융위원회(2023.09.10)
이미지 확대보기금융위원회(위원장 김주현닫기

김소영 부위원장은 8일 오전 홍콩에서 기획재정부,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과 함께 글로벌 투자자를 대상으로 'Invest in Korea – A dialogue with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투자설명회(IR)를 개최하고,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자본‧외환시장의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을 설명하였다.
김 부위원장은 글로벌 투자자를 대상으로 외국인 ID 폐지 등 자본시장 접근성 제고방안, 배당절차 개선방안, 내부자거래 사전공시 등 일반주주 보호 정책, 외국인의 국채 투자 비과세, 국제예탁결제기구와의 국채통합계좌 개통 준비, 외환시장 개장시간 연장 등 외환시장 구조 개선방안 등을 포함하여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들의 주요내용을 직접 발표하였다.
또 김 부위원장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의 투자환경이 개선되었음을 충분히 체감할 수 있도록 자본시장과 외환시장의 글로벌화를 위한 주요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이를 통해 우리 자본시장을 한단계 더 업그레이드 하여 투자 → 성장 →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가 구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8일 오후 김 부위원장은 홍콩 금융관리국 Arthur Yuen(아서 위엔) 부청장을 만나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양국이 금융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재 홍콩에는 한국의 11개 은행, 15개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가 진출해 있다.
김 부위원장은 지금도 한국 금융회사들이 상당수 홍콩에 진출해 있는 상황이지만 여전히 홍콩에 진출하고자 하는 수요가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한국의 유능한 금융인력들도 홍콩 금융시장에서 더 많은 기회를 얻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홍콩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지원과 많은 관심을 당부하였다.
Arthur Yuen 부청장은 한국이 글로벌 금융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말 그대로 허브, 즉 연결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홍콩도 한국과 금융협력을 확대하길 희망한다고 제시했다. IT 기술이 발달한 한국의 핀테크 관련 기업과 인재들이 홍콩에 진출한다면 양국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면서 양국의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도 계속 논의하기로 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