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채권은행은 선정된 계열의 재무구조를 평가하고 개선이 필요한 계열에 대해서는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체결해 이행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금융감독원(원장 이복현닫기

금감원은 매년 총차입금과 은행권 신용공여가 일정금액 이상인 계열기업군을 주채무계열로 선정한다.
전년도 주채무계열(32개)과 비교할 때, 이랜드, 카카오, 태영, 현대백화점, 한온시스템, DN, 엘엑스(LX) 7개 계열이 신규 편입됐고, 동국제강 계열은 제외됐다.
총차입금 기준 현대자동차, SK, 롯데, 삼성, LG 순으로 전년 대비 삼성(3위→4위)과 롯데(4위→3위)의 순위가 변동됐다.
38개 주채무계열의 주채권은행은 우리(11개), 산업(10개), 하나(8개), 신한(6개), 국민(2개), SC(1개) 등 6개 은행이다.
계열별 소속기업체 수는 한화(832사), SK(746사), 삼성(646사), LG(425사), 현대자동차(423사), CJ(422사), 롯데(295사) 순이다.
2022년말 현재 은행의 기업 신용공여 잔액은 1775조5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0.1% 증가했다.
2023년 주채무계열(38개)의 은행권 신용공여액은 322조6000억원으로 전년 주채무계열(32개, 277조1000억원) 대비 16.4% 늘었다.
총차입금은 609조7000억원으로 전년 주채무계열(32개, 546조3000억원) 대비 11.6% 증가했다.
금감원은 "주채권은행은 약정 체결 계열의 자구계획 이행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대기업그룹의 신용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