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래소가 주식 거래 시간을 하루 12시간으로 대폭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증권업계 내부에서는 찬반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사진=한국거래소
거래소는 지난달 29일부터 회원사를 대상으로 거래 시간 연장안에 대한 의견 수렴을 진행하고 있다. 원래 설문 기한은 7월 31일이었으나, 일부 증권사들의 회신 지연 등을 고려해 8월 8일까지 연장했다. 이번 제안은 기존보다 거래 시간을 큰 폭 늘리기 위한 여러 방안을 포함하고 있으며, 세 가지 안이 검토되고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장 개장 시간을 1시간 앞당겨 오전 8시에 열기.
둘째, 오전 8시 프리마켓과 시가 단일가 매매를 도입하거나, 프리마켓 운영은 유지하되 정규장 시작 시 호가를 삭제하는 방안.
셋째, 정규장 종료 후 오후 8시까지 애프터마켓 유지 등 이다.
이와 관련, 대다수 증권사들은 거래시간 연장은 피할 수 없는 흐름으로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최근 복수 거래 체제인 대체거래소(ATS) ‘넥스트레이드’ 출범 이후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거래시간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시각이다.
하지만, 찬성하는 한편으로 업계 내부에선 준비와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거래량 증가로 수익은 기대할 수 있지만, 시스템 재정비와 인력 배치, 업무 시간 조정 등 준비 과정이 만만치 않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른 개장으로 인한 직원 출근 시간 조정, 신용공여, 반대매매 관련 업무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고객 혼란을 최소화하고자 정규장 시작 시간을 현행 체제로 유지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준비 기간과 비용이 부담이다. 한 관계자는 “시스템 개편은 최소 9개월에서 최대 1년이 소요되며, 특히 인건비와 외주 계약 비용이 상당하다”고 지적했다. 인력 충원 역시 장기적 인사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우려를 제기했다.
이와 함께, 노동계에서는 강한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은 지난달 30일 성명을 통해 “과도한 노동 강요와 업무 부담이 늘어날 것이다”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노조는 “증권사 직원과 상장사 공시 담당자들이 과도한 노동에 시달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업계 내에서는 현재 제시된 세 가지 방안 외에 ‘제4안’ 도입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넥스트레이드와 거래소 간 거래시간 조정을 검토 중인 만큼, 향후 전혀 다른 방안이 나올 가능성도 열려 있다.
한편, 거래소는 회원사와 금융당국의 의견을 수렴 후 최종 방안을 확정짓기 위해 내부 검토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업계와 노동계 모두의 목소리를 균형 있게 반영하는 방향이 어떤 모습이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희일 한국금융신문 기자 heuyil@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