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임영진 신한카드 대표, 이창권 KB국민카드 대표, 김대환 삼성카드 대표,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김정기 우리카드 대표, 권길주 하나카드 대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사진제공=각 사
이미지 확대보기올해 카드업계 경영환경이 그 어느 때보다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위기의 장벽을 넘겠다는 계획을 선보이고 있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와 카드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빅테크와의 경쟁 등 대내외적인 환경이 녹록치 않지만, 플랫폼 기업으로의 과감한 전환과 미래 신수익원 발굴에 투자하며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대표는 "고객에게 집중하기 위해 지급결제와 금융사업 등 카드 본업에 대한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며 수익과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할 것"이라며 "이를 또 다시 새로운 고객 경험으로 연결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환 삼성카드 대표는 "모든 고민과 노력을 고객에게 집중시켜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회사로 거듭날 것"을 당부했다.
김정기닫기

권길주닫기

임영진닫기

또 "업계 최고 역량의 데이터와 디지털을 통해 고객 한 사람, 한 사람의 마음을 향하고 ‘더 쉽고 편안한, 더 새로운 금융’의 경험을 선사하는 진정한 ‘딥테크(Deep-tech)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이창권 대표는 신규사업 기반확대와 메타버스 등 신기술을 통한 미래금융 개척을 선언했다. 이 대표는 "신사업에 대한 성장을 가속화 하고 과감한 투자를 통해 미래 금융을 개척해 나가겠다"며 "글로벌 사업의 빠른 안정화와 전략적 확대를 추진하고, 전문 프로세싱 대행사(PA)로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는 등 신규사업 수익기반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메타버스와 NFT 등 새로운 기술과 가상 자산과 CBDC 등 카드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미래 화폐 구조 변화를 예의 주시하고 미래 금융환경 변화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정태영닫기

김정기 대표는 미래 수익사업 확충을 새해 경영전략으로 내세웠다. 김 대표는 "차별화된 기업금융과 미얀마 할부금융업 진출 등 사업영역을 다각화하고 새로운 수익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권길주 대표는 '디지털 플랫폼 사업 확대'와 'ICT Rebuild'를 올해 핵심 집중 과제로 삼았다. 권 대표는 "하나카드 애플리케이션으로 고객이 가치를 체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을 지향하겠다"며 "안정적인 성장의 필수 요건인 정보통신기술 재건축 사업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조좌진 대표는 "초개인화 기반의 '큐레이팅 디지털 컴퍼니(Curating Digital Company)'로 전환해 나감으로써 기존의 신용판매와 금융사업을 기초로 비즈니스 모델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조 대표는 "캡티브(Captive) 파트너사와 전략적 마케팅 모델을 새롭게 정립해 나가야 한다"며 "아웃사이드인(Outside-in) 경영을 체질화하고 카드사로서 본원적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영진 대표는 ‘라이프앤파이낸스 플랫폼’ 기업으로서 시장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임 대표는 "일 사람 환경 모든 것을 바꾸는 문화 대전환을 통해 임직원 모두가 끊임없는 지속 성장을 이끄는 새로운 성장문화를 정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권 대표는 "카드사라는 한계를 뛰어넘어 디지털 기술과 역량을 보유한 초일류 플랫폼 기업으로의 대전환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에 필요한 자원 확충과 기술 확보를 위해 다양한 외부 금융 및 비금융 사업자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보하고 그룹의 모든 계열사의 자원과 역량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했다.
김정기 대표는 "플랫폼 기반 서비스 혁신을 통해 마이데이터의 자산관리 등 고객 생활 전반에 걸친 서비스를 우리카드 플랫폼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조좌진 대표는 '디지로카(Digi LOCA)'로의 대전환을 이루겠다는 계획이다. 조 대표는 "디지로카를 통해 롯데카드만의 디지털 모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