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셔틀은 로봇과 버스를 의미하는 셔틀의 합성어다. 다인승 차량에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모빌리티를 의미한다.
현대차는 로보셔틀 시범 서비스 운영을 위해 대형 승합차(쏠라티 11인승)를 개조하고, 국토교통부로부터 자율주행 자동차 레벨3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했다. 여기에 현대차에서 자체 개발중인 레벨4 수준의 핵심 기술을 일부 적용했다. 이에 차량 스스로 주행 상황을 인지·판단 후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일부 제한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비상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는다.
현대차 로보셔틀 서비스는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셔클'과 연계해 운영된다. 셔클은 유사한 경로가 승객을 함께 태우는 라이드 풀링 서비스로, 앱으로 호출하면 원하는 위치에서 내리는 마을버스라고 이해하면 쉽다. 현대차는 이달 19일부터 셔클 앱을 통해 세종시에서 로보셔틀 체험인원을 모집한다.
현대차는 로보셔틀 시범 서비스 지역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연내 현대차·기아 남양기술연구소 내부 순환 셔틀 노선에 셔클·로보셔틀 서비스를 시범 도입한다. 내년 상반기엔 경기도 성남 판교 일대에 로보셔틀 서비스를 선보인다.
현대차 자율주행사업부 관계자는 “자율주행 기술과 AI 모빌리티 기술을 연계한 로보셔틀 서비스를 고객에게 첫 선을 보인 점에 의미가 있다”며 “향후 로보택시, 로보배송 등으로 완전 자율주행 서비스 라인업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