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018년 5월 취임한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의 임기가 다음달로 끝난다. 사진제공 = 금융감독원

2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윤 원장은 지난 2018년 7월 금융사들에 대한 종합검사의 부활을 알리며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금융사들과 전쟁을 해나갈 것”이라고 표현했다. 이는 금융권에 대한 윤 원장의 적대적 시각이 드러난 발언으로 평가된다.
바로 직전에 금융협회장들과의 간담회에서 “공정한 채용문화 확립, 일자리 창출, 소비자 권익 중진 등 지속가능 성장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금융사에 대해서는 이를 경영실태 평가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던 것과는 상반된 표현이었다.
또 그는 2019년 8월 파생상품 사태와 관련해 금감원의 관리가 소홀했던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감독기관으로서 책임을 느끼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금감원의 인력과 법적 제도 등 여건을 생각해보면 금감원이 지금보다 더 잘했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본다”고 금감원 감독 부실에 대해 인력 문제로 치부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DLS와 DLF 대규모 손실 사태와 관련해 금감원의 감독이 소홀했음에도 불구하고 “금융사가 일종의 갬블 상품을 만든 것으로 금융사에 더 중요한 책임이 있다. 금융 활동으로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는 게 하나도 없기에 따지고 보면 괜한 일을 한 것”이라고 말해 물의를 일으켰다. 파생상품 자체를 ‘갬블(도박)’이라고 정의하는 것부터가 부적절하다고 최운열 전(前)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적했다.
금융연구원장 출신인 윤창현닫기

작년 4월에는 은행들이 불완전판매를 하는 것에 대해 “금융사가 중수익 상품을 만들어 중화를 시켜줘야 하는데 금융산업, 특히 금융투자사들 같은 곳에서 잘 못하고 있다”며 “그래서 은행도 불완전판매에 말려드는 것”이라고 주장해 금투업계의 반발을 샀다.
끝으로 윤 원장은 지난 3월 5일 노조와 면담에서 채용비리 연루 직원의 승진에 대해 “나도 몰랐다. 국장 인사만 신경 썼고 팀장 이하는 문제없다고 해서 그런 줄 알았다”고 해명했다.
권혁기 기자 khk0204@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