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12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반도체 부족 상황이 지속 중이다. 그러나 완성차 업체들의 주가는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실적 추정치 또한 뺄셈이 아닌 덧셈이 확인되고 있다. 이유는 세 가지다. 1) 반도체 공급 차질은 단기 이슈다. 라인 조정만으로 생산 확대 가능하며, 6-7월부터 문제가 해소된다. 2) 단기 실적 우려가 제한적이다. 수요 확장 국면 속 발생한 공급 차질로 실질 판매단가 급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Q 감소를 P 상승으로 방어한다. 3) 공급자 우위 시장이 예상된다. 공급 부족에 의한 1H21 초과 수요는 대기 수요로 누적된다. 수요 환경이 더욱 좋아질 2H21은 축적된 대기 수요가 더해지며 매력적 판매 환경이 마련될 것이다.
■ 현대 · 기아 반도체 실적 영향 제한적
■ 손익 영향: 반도체 원가 비중은 1%이다. 단기 구매단가 상승 +20% 예상되며, 이로 인한 영업이익률 훼손 -0.2%p 가능하다. 그러나 마이너스보다 플러스가 더 크다. 업계 전반의 공급 차질과 이에 따른 수요 초과가 실질 가격 상승(ATP)으로 이어지고 있다. 판매 Mix도 좋아진다. 반도체 수급 영향은 낮은 수익성의 차량 생산라인에 먼저 반영될 예정이다. Mix 개선의 실적 부양 효과는 2H20 증명된 바 있다.
■ 실적 개선세 지속, 본질은 수요상품 경쟁력 · 모빌리티 기술 전개
‘판매 호조→ 재고 감축→ 인센티브 축소→ 실적 개선’의 선순환 지속 중이다. 산업 전반 ATP 상승과 함께 SUV · Luxury 판매 호조 통한 ASP Mix 개선 유효하다. 반도체 영향이 제한적이었던 1Q21 · 반도체 영향권에 들어설 2Q21 모두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 실현을 전망한다. 양호한 실적 전개 속 주목해야 할 사안은 모빌리티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구현을 위한 기술 전개이다. 높은 에너지 공급 효율성을 실현한 e-GMP 모델의 판매 호조와 2H21 FOTA 및 집중형 Architecture 상용화 실현이 이루어진다면, 새로운 기업가치 평가 프레임 적용이 가능하다.
(김준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