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네이버에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KT는 지난 2017년부터 전국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2200여 개의 정부 공인 공기질 측정 장비를 설치하고, 에어맵코리아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국민들에게 실시간 공기질 정보를 제공 중이다. KT의 공기질 측정 장비 수는 국가가 설치한 공기질 측정 장비의 5배 규모다.
네이버는 KT의 정부 인증 1, 2등급 장비가 측정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받은 뒤 날씨 서비스를 통해 전국 공기질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네이버는 네이버 웹사이트와 앱의 날씨 서비스에 KT 공기질 데이터와 국가 측정망 데이터를 동시에 표출한다. 또한 사용자가 개인별 위치를 기반으로 정확한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할 방침이다.
또 네이버는 올해 신규 도입한 코로나19 안내 서비스에 이어 KT 공기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날씨 환경 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KT는 앞으로도 네이버와 함께 공기질 측정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고 기후변화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 필요한 융복합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환경 분야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
김준닫기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