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하지만 시장 유동성이 단기화되며 수익추구를 위해 자산시장 등으로 쏠릴 가능성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금년 들어 코로나19에 대한 정책대응 과정에서 통화 증가율이 빠르게 상승했다.
한은은 "시중 유동성 상황을 판단하는 데 주로 활용되는 통화지표인 M2(광의 통화) 증가율(평잔, 전년동월대비)은 2019년 12월 7.9%에서 금년 6월 9.9%로 큰 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최근 통화증가율의 빠른 상승세는 기업부문으로의 유동성 공급이 크게 확대된 데 주로 기인했다.
상반기 중 예금취급기관(은행+비은행)의 기업신용은 125.2조 원 증가해 통계 작성(2001년 12월)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예금취급기관의 기업대출은 119.5조 원, 회사채 등 직접금융을 통한 신용공급은 5.7조 원 증가했다.
총신용 증가율(2020년 6월 9.2%, 전년동월대비)의 기여도를 살펴보면 기업신용의 기여도가 5.7%p로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기업에 대규모로 공급된 유동성은 대부분 코로나19의 충격을 극복하기 위한 기업의 영업활동에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용도별로 보면 운전자금대출이 2019년 중(분기 평균) 13.7조 원 증가했으나 금년 상반기 중에는 44.9조 원 증가하여 증가 규모가 대폭 확대됐다.
업종별로 보면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크게 확대됐으며 부동산업 대출 증가 규모는 예년 수준을 소폭 상회했다.
![[통화신용정책보고서②] 단기화된 시중 유동성 자금 자산시장 쏠림 가능성 점검 필요](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91007415603631c7303b8f3d175193134222.jpg&nmt=18)
■ 통화 상당 부분을 단기성 금융 상품으로 운용
가계, 기업 등 경제주체들은 보유한 통화의 상당 부분을 단기성 금융상품으로 운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상반기 중 M2 증가액을 금융상품별(M1 및 M1제외)로 나눠보면 수시입출식예금(+72.6조 원), 요구불예금(+49.1조 원) 등으로 구성된 M1은 133.0조 원 증가하여 전체 M2 증가액(164.9조 원)의 80.7%를 차지했다.
반면 정기예금, 수익증권 등 M1에 포함되지 않는 중장기성 금융상품은 동 기간 중 31.9조 원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소폭 증가에 그쳤다.
이는 저금리에 따른 중장기성 금융상품의 금리 유인 약화, 기업 조달 자금의 단기운용 등에 주로 기인했다.
이에 따라 M1/M2 비중이 2019년 12월 31.8%에서 2020년 6월 34.4%로 크게 상승했다.
![[통화신용정책보고서②] 단기화된 시중 유동성 자금 자산시장 쏠림 가능성 점검 필요](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91007423303319c7303b8f3d175193134222.jpg&nmt=18)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