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트진로의 맥주 테라. 사진=하이트진로
3일 식품산업정보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테라의 매출은 1766억원(POS 소매점 매출액 기준)이다. 오비맥주 카스 후레쉬에 이은 업계 2위다. 3~4분기에 본격적으로 판매가 시작된 것을 고려하면 성장세가 눈길을 끈다.
테라가 고성장세를 보이는 이유 중 하나는 서울 외식 상권 성공 정착이 꼽힌다. 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정착해 ‘테슬라’, ‘테진아’ 등 신조어를 만들며 점유율을 높였다. 시장 타깃 고객층인 20~30세대의 테라에 대한 선호도가 상승했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테라는 서울 외식 상권에 성공적으로 침투했다”며 “해당 시장 타깃 고객층인 20~30대 중심으로 점유율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서울 외식 상권 침투 성공은 가정용 맥주 시장의 점유율 상승을 불렀다”며 “당분간은 테라의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단위 : 억원. 자료=식품산업통계.
증권업계에서는 테라의 상승세를 고려한다면 올해 하반기 맥주 시장 1위로 차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인규 하이트진로 사장의 맥주 부문 영업 초점 전환도 이를 뒷받침한다.
김 사장은 지난해 3월 테라를 론칭하면서 “필사즉즉생의 각오로 5년여를 준비해 테라를 출시했다”면서 “하이트의 성공신화를 재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맥주 영업의 중심을 도매상에서 각 개별 음식점 중심의 소매상으로 전환했다. 그 일환으로 서울 외식 상권 시장 점유율을 높였고, 도매상보다 소매상을 적극 공략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