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등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해 청와대·외교부·정당들이 서로 책임 미루기에 급급하자, 박 회장이 재계 입장을 대변해 목소리를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박 회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여야정 모두 경제위기라는 말을 입에 담지 말아줬으면 좋겠다. 듣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 억장이 무너진다"고 호소하며 이같이 썼다.
그는 "중국 미국 모두 보호무역주의로 기울어지며 제조업 제품의 수출이 갈수록 어려워지는데 우리는 여유도 없으면서 하나씩 터질때마다 대책을 세운다"고 비판했다.
또한 박 회장은 기업입장에서 신사업 규제와 관련한 답답함을 대변했다.
박 회장은 "(다른 국가들은) 첨단기술과 신산업에 몰입하는데, 우리는 기반 과학도 모자라는데다가 신사업 규제의 정글 속에 갇혔다"며 "규제 법안은 경쟁하듯 속속 보태어지고, 기업은 일부가 지은 잘못 때문에 제대로 항변조차 조심스럽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의료 교육 모든 서비스 산업기회는 완.전.투.망.밀.봉.식으로 닫혀있고, 열자는 말만 꺼내도 전원이 달려들어 역적 취급을 한다"고 했다.
앞서 1일 일본 정부는 오는 4일부터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3개 품목의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수출절차 등을 간소화해주는 '화이트 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