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가운데)과 기우성 셀트리온 부회장(오른쪽)이 인천 송도 셀트리온 바이오의약품 생산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에 따르면 이같은 제안은 류영진 식약처장이 22일 인천 송도 소재 셀트리온 본사에 방문한 자리에서 이루어졌다.
류 처장은 식약처 관계자들과 함께 셀트리온을 방문해, 항체 바이오시밀러 사업 전반에 대한 설명을 청취하는 한편, 직접 셀트리온 바이오의약품 생산 현장과 연구소 등을 둘러봤다.
이 자리에서 셀트리온은 심사수수료현실화 등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안을 제안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기업은 의약품 허가 심사를 위해 심사 수수료 650만원을 납부한다. 미국(28억5000만원)의 40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은 전문인력 투입을 감안하여 책정한 심사 수수료를 기업에 부과한다.
셀트리온은 심사수수료 인상을 통해 의약품 허가기간 단축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심사수수료를 상향하면 식약처는 수수료로 추가 전문 인력을 확보할 수 있고 기업은 빠른 허가를 통해 의약품을 상업화 시킬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류영진 식약처장은 "새로운 국가 주도산업으로 손꼽히는 바이오제약 분야에 국민들의 기대와 관심이 무척 크다”며 “식약처도 바이오제약 산업 활성화 및 업계의 고충 해소를 위해 오늘 논의된 다양한 규제 혁신책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