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왼쪽에서 다 섯번째)과 관계자들이 ‘제 3회 신세계그룹 상생 채용 박람회’에서 커팅식을 진행하고 있다. 신세계그룹 제공
1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과 총수 공백 사태를 겪고 있는 롯데그룹은 오는 20일부터 2018년 상반기 공채 서류접수를 시작한다.
롯데는 올해 상반기에 신입 사원과 경력직‧정규직 전환 등 지난해(7200여명)와 비슷한 수준인 7000여명을 채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상반기 공채에 참여하는 계열사 수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백화점 등 메인 계열사는 채용 수요가 고정적이나 비주력 계열사의 경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이번주 내 구체적인 채용 규모 등이 확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롯데그룹 상반기 공채에는 총 39개 계열사가 참여했다
신세계그룹은 지난 2015년부터 매년 1만명 이상을 채용해왔으며 올해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인원을 채용할 계획이다. 신세계는 매년 9~10월에 한 차례 대졸 신입사원 공채를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 17개 계열사는 수시로 경력직을 채용하고 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올해 상반기에 지난해 상반기(약 1950여명)보다 60% 이상 늘어난 3150여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지난해 발표한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소속 비정규직 직원 2300여명의 정규직 전환 인원이 포함되면서 채용 규모가 대폭 늘었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 현대백화점 시내면세점 오픈을 앞두고 있어 채용 인원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밖에 CJ그룹은 오는 19일까지 CJ제일제당과 CJ E&M 등 13개 주요 계열사의 상반기 대졸 신입사원을 공개 채용한다. 올해 상‧하반기 채용 규모는 약 1000명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스타필드 고양 외부 조감도. 신세계그룹 제공
롯데는 약 40조원을 투자해 지난해부터 향후 5년간 약 7만명을 채용한다는 방침이다. 부문별로는 유통 부문이 4만 2600명(61%)으로 가장 높고, 식품 20%, 호텔·서비스 12%, 케미칼‧금융이 7% 순이다.
신세계의 경우 지난 2014년 ‘비전 2023’을 통해 10년간 17만명을 고용하겠다는 대규모 채용 목표를 밝혔다. 정용진닫기

다만 올해 하반기부터는 이 같은 대규모 채용 계획이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스타필드 등 복합쇼핑몰에도 대형마트와 같은 의무휴업제를 도입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회에는 대형마트에 이어 복합쇼핑몰에도 월 2회 의무휴업 및 영업시간 제한을 두겠다는 내용의 ‘유통산업발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계류 중이다. 중소기업벤처부는 해당 법안 통과를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입법지원 활동 강화에 나섰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 통과 등 유통규제가 강화될 시 최대 3만5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대형마트 의무휴업과 출점제한 등으로 인해 올해 이마트와 홈플러스는 추가 출점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신입 공채의 경우 자리가 한정돼있어 유통업은 추가 출점에 따른 현장 근로자들 채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며 “출점 제한이나 영업규제가 강화되면 그 만큼 일자리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