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산관연 협력 테스트베드 만들어야”](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70522022520181301fnimage_01.jpg&nmt=18)
한국금융신문이 5월 23일 개최하는 ‘2017 한국금융미래포럼: 4차 산업혁명과 기업가치의 변화’에서 주제 강연자로 나서는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작년 4월 우리나라도 신산업 민관 협의회를 만들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구를 만들었지만 범위가 너무 넓다”며 “분야를 한정하고 이와 비슷한 다른 나라와의 협력을 강화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현 원장은 한국이 4차 산업혁명 흐름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선 유관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부, 연구소, 기업이 협력할 수 있는 시범단지인 ‘테스트베드’와 실제 시장에서 성공한 모범사례 공유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현재 R&D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등 주관 기관이 많다”며 “연구단지와 같은 클러스터를 조성해서 진행하는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독일, 일본 등은 시범 클러스터를 만들어 기업, 정부, 연구소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흐름을 따라잡기 위해서 그는 연구가 활발히 이뤄질 수 있는 ‘운동장’ 조성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한 관련 규제 완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정택 원장은 “자율주행차는 도로교통법, 빅데이터는 개인정보보호법 등 개인의 안전과 산업발전에 상충되는 법안이 많다”며 “4차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를 조화할 수 있는 규제완화가 선행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규제완화가 가장 시급하게 이뤄줘야 할 부분으로 빅데이터 관련 규제를 꼽았다. 우리나라는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많아서다.
현 원장은 “예를 들어 건강보험공단이 관리하고 있는 의료 관리 정보를 연구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면 우리나라 질병연구가 획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된다”며 “개인정보보호법과 빅데이터 연구가 조화할 수 있어야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4차 산업혁명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 원장은 “창의적 교육을 진행하고 소프트웨어를 중점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