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총량제 시행, 카드대출 다중채무자에 대한 추가 충당금 적립 제도 마련 등 가계대출 증가세 억제 정책에 나선 가운데, 하나카드가 본격적인 제도 시행 전 카드론 불리기에 나서고 있다. 낮은 금리를 내세우며 카드론을 자금 마련 책으로 권유하는 마케팅을 펼치고 있어 금감원 제재 전 카드론 영업에 시동을 거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3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하나카드는 지난 16일 금융감독원은 하나카드를 대상으로 카드론 적정성 여부 실태점검을 진행했지만 카드론 마케팅을 여전히 진행하고 있다.
실제로 하나카드는 작년보다 카드론 증가세가 높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5년 말 1조5470억원이던 하나카드 카드론 자산은 작년 말 2조8800억원으로 21.6% 증가했다. 20% 이상 증가한 곳은 7개 카드사 중 KB국민카드, 하나카드가 유일하다. KB국민카드도 하나카드와 함께 금융감독원 카드론 적정성 여부 실태점검을 받았다.
금융당국은 금리 인하 프로모션을 가계대출 증가 위험 원인으로 바라보고 있다. 카드론 고객이 또다시 카드론으로 대환대출을 받아 가계대출의 늪에 빠지게 하는 요인인 경우가 많아서다.
롯데카드는 이와같은 이유로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경영유의 조치를 받았다.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카드론 이용금리 할인 등 프로모션을 지속 실시하며 카드론 취급잔액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경영유의 조치를 받았다.
금융감독원은 "롯데카드는 2014년 6월 이후 카드론 취급대상 선정기준 및 이용가능한도 산출기준 변경 등을 통해 카드론 이용 대상 및 이용가능 한도를 확대하고, 카드론 이용금리 할인(정상금리 대비 40~50%) 등의 프로모션을 지속 실시해 카드론 취급잔액이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라며 "앞으로 카드론 취급 대상 및 이용가능한도 산출 기준을 적정하게 설정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 입장에서는 우량 고객이 카드론을 사용하기 원하지만 실질적으로 저신용자가 카드론을 사용하면서 위험부담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