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성주CC 홈페이지 캡쳐
8일 롯데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지난해 말 선양 지역에서 진행 중인 롯데월드타운 공사의 중단 조치를 내렸다. 이미 완공된 백화점과 영플라자 등은 정상 운영 중이나, 2018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하던 테마파크 및 아파트의 공사가 멈췄다.
롯데그룹은 중국 선양 지역에 3조 원가량을 투입하고 테마파크와 대형쇼핑몰, 호텔, 주거단지 등을 조성하는 롯데월드타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총 부지는 16만㎡, 건축면적은 150만㎡ 규모다.
지난해 말 중국은 2년 이상 끌어왔던 선양 롯데월드타운 내 초고층 건물의 건축허가를 내주기도 했다.
당초 신청한 100층 규모의 초고층 대신 50층을 낮춰 지어야 한다는 조건이나, 건축허가가 승인되며 최근 제기되고 있는 사드 보복에 대한 우려를 불식했다.
하지만 최근 중국 정부의 한류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번에 내려진 조치 또한 사드 배치와 연관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은 지난 1~2월 중국발 한국행 전세기 운항을 거부했으며, 삼성SDI와 LG화학의 배터리를 탑재한 중국의 전기자동차 5개 모델을 정부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했다.
특히 롯데의 경우, 지난해 11월 16일 롯데 성주 골프장과 남양주 국유지의 맞교환 방식으로 사드 배치 협상이 이뤄지면서 한류 규제의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우려가 일었다.
지난해 11월 롯데백화점 5개 점포, 롯데마트 116개 점포를 비롯한 150여개 롯데 현지 사업장이 소방안전과 위생 점검 조사를 받았으며, 세무조사 까지 동시에 진행됐다.
상하이에 위치한 롯데 중국 본부는 상하이시 단위의 세무조사를 받았다. 이전에는 하급기관인 구 단위 세무서가 롯데 중국 본부의 조사를 담당해왔다.
당시 롯데의 유통시설 뿐 아니라 롯데제과, 롯데케미칼의 중국 공장을 대상으로 한 고강도 조사도 함께 진행됐으며, 일부 롯데캐슬 모델하우스는 폐쇄까지 요구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사업장 소방점검은 벌금과 시정조치 뿐 아니라 영업중단까지 갈 수 있는 강력한 제재수단으로 알려졌다. 소방 점검의 후속 조치인 이번 공사 중단이 롯데를 향한 사드 보복의 연장선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다.
롯데 관계자는 “지난해 말 있었던 소방점검에서 시정사항이 나와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지적된 부분을 보완해 공사를 재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