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는 지난 22일 파생상품시장에 대한 경쟁력 제고 방안 및 파생결합증권 시장 건전화 방안을 발표했다. 발표된 경쟁력 제고 방안은 선물, 옵션의 거래승수 조정, 헤지전용계좌 도입, ELS·DLS 투자자 보호체계 강화 등이었다.
그 중에선 ELS 상품을 ETN으로 대체한다는 계획도 있었다.
유안타증권 이중호 연구원은 “ELS를 대체하겠다는 수단이 ETN 활성화와 파생상품 투자펀드 활성화”라며 “ELS에 투자하려는 투자자들을 ETN 등 대안 상품으로 돌릴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내용”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원는 “하지만 ELS와 ETN의 성격을 볼 때 일부 제도 개선으로 ELS 투자자의 ETN 이동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ELS는 대부분 한번 구매하는 성격의 상품이고, ETN은 필요에 따라 거래 하는 개념의 상품이기에 서로 시장의 접근 대상 자체가 다르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다양한 상품이 존재한다는 측면에선 긍정적이지만 실제 효과를 보긴 쉽지 않다고 전망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