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친애저축은행이 JT캐피탈의 대출채권 4000억원을 사들였다. 신용대출, 주택담보, 부동산담보의 대출채권 중 정상채권들을 대상으로 신용대출이 2500억원, 담보대출이 1500억원이다.
JT저축은행(舊 SC저축은행)과 통합을 진행 중인 친애저축은행이 JT캐피탈의 자산을 사들인 이유는 일종의 내부 영역정리다. 캐피탈의 기업금융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된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라 개인금융자산은 저축은행으로 밀어주기 위한 것.
친애저축은행 관계자는 “JT캐피탈에서는 당국의 정책 방향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향후 개인여신이나 주택담보대출 보다는 기업여신에 집중할 예정이라 채권일부를 양도한 것”이라며 “친애저축은행은 이를 통해 개인여신을 증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 우량 개인여신 확대는 호재일 듯
이에 따라 친애저축은행의 총자산은 대략 1조5000억원 수준에 이른 것으로 유추된다. 향후 통합되는 JT저축은행(3369억원)을 합치면 거의 2조원에 육박해 명실상부 업계 3위의 덩치를 갖출 것으로 전망된다.
얼마 전만해도 친애저축은행은 대대적인 영업확대를 통해 규모를 불리며 추격해오던 OK저축은행에 자리를 내줘야할 분위기였다. 작년 말 OK저축은행은 총자산 1조1132억원을 돌파하며 친애저축은행(1조1422억원)을 추월할 기세였다.
그러나 이번 기회를 통해 격차가 더 벌어져 친애저축은행으로선 한숨 돌린 셈이다. 그간 친애저축은행은 수신에 비해 여신자산 성장이 더뎌 대출영업에 소극적이란 평을 받아왔다.
또 한편으론 은행계인 舊 SC캐피탈의 대출자산은 기존 저축은행의 대출자산보다 비교적 우량할 것으로 보여 호재라는 시각도 있다. 저축은행권 관계자는 “은행계 캐피탈은 주로 은행과 연계영업을 통해 넘어온 고객들이 많아 기존 저축은행 고객보다는 우량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J트러스트, 금융사 인수 후 업무조정
이번 거래는 J트러스트가 舊 SC캐피탈을 인수하기 전부터 이미 진행된 사안으로 알려졌다. 친애저축은행은 M&A가 완료되기도 전에 예·적금 금리를 대폭 올려 수신을 끌어왔는데 작년 12월말 기준으로 예수금이 1조원(평균잔액)에 달할 정도로 급증한바 있다. 이는 캐피탈의 자산매입에 필요한 자금마련이 목적이다.
지난 2011년 소비자금융사 네오라인 크레디트를 인수하면서 첫발을 들인 J트러스트는 국내 금융사를 M&A할 때마다 업무조정을 해왔다. 친애저축은행을 제외하고 네오라인 크레디트와 KJI대부, 하이캐피탈대부를 NPL(부실채권)사업으로 변환하려 한 게 대표적이다. 친애저축은행이 KJI대부의 ‘원더풀론’ 상호명을 이전받아 자사 브랜드로 사용하고 있는 것도 비슷한 사례다.
원충희 기자 w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