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제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풍선효과는 일부 업계에 한정적일 것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개인들의 주택담보대출 보다는 사업자대출 비중이 높아 대출실적 변화는 없다고 업계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최근 시중은행에 LTV(주택담보인정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이뤄지면서 대출을 못받는 고객들이 제2금융권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감독당국은 제2금융권에 주택담보대출을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으며 향후 모니터링을 통해 시중은행에 이어 규제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경우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연 평균 12%대여서 고금리 부담으로 쉽게 접근하지 않는다는 것.
또한 저축은행들은 대부분 중소형 자영업자 등을 중심으로 한 사업자금대출로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하고 있다.
실제로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전체여신의 10%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이 가운데 개인부문은 절반정도도 안된다는 것. 저축은행의 6월말 전체 대출금액은 57조20억원이며 이 중 주택담보대출은 개인부문의 경우 1조7413억원으로전체 대출의 3% 밖에 되지 않는다.
B저축은행 관계자는 “영세자영업자들의 사업자금대출로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하고 있어 LTV나 DTI 규제 영향은 없지만 가뜩이나 영업 범위에 제한이 있는 상황에서 규제까지 되면 하반기 저축은행 영업이 더욱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큰 변동이 없는 저축은행 마저 규제 대상이 될 경우 저축은행의 영업은 위축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감독당국도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추이는 변동이 없다”며 “규제 여부는 전반적인 제2금융권 상황을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