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제연구소(소장 김형닫기

연평균 증가율은 2000년 10.8%에 불과했으나 작년에는 66.7%로 높아졌고 올해는 54.6%로 다소 둔화되기는 했으나 여전히 가파른 증가세가 이어졌다.
3월말 현재 사채업체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부산진구에 전체의 38.1%인 564개가 집중돼 있고 동래구 10.3%(152개),동구 8.9%(132개),중구 6.1%(91개) 등의 순이었다.
부산의 주 간선도로인 중앙로를 끼고 있는 이들 4개 구에 전체 사채업체의 63.4%가 몰려 있는 것이다.
특히 부산진구의 경우 2001년에 비해 가장 많은 214개 업체가 증가했고 동구 75개,동래구 37개,연제구 31개 등으로 많이 증가했다.
부산의 사채업체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전국평균보다 높은 실업률이 지속되면서 가계 및 기업의 급전수요가 늘어난데다 99년 파이낸스사태 이후 유사금융업체들이 사채업으로 전환한 때문으로 분석됐다.
부산진구의 사채업체 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파이낸스사 등 유사 금융업체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김형구 소장은 밝혔다.
99년 3월 현재 부산의 파이낸스사 및 유사금융업체의 32.4%인 71개 업체가 부산진구에 몰려있었는데 유사금융업체에 대한 수신금지조처 이후 파이낸스사들이 합병과 도산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원래의 사채업으로 복귀 및 전환한 때문이라는 것이다.
부산경제연구소는 99년 파이낸스 사태이후 유사금융업체는 소멸된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형태와 명칭으로 불법영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전국평균보다 낮은 고실업 등이 해소되지 않는 한 가계의 사채시장 의존도는 더욱 심해지고 사채업체도 따라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김형구소장은 사채시장을 제도금융권으로 흡수하기 위해 `대부업법`의 조속한 시행과 함께 사채관련 자금의 경제적 순기능 강화를 위해 벤처부문 투자를 적극 양성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사채자금이 벤처 등 생산적인 부분에 투자되도록 조세감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창호 기자 ch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