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계에 따르면 서울소재 42개 금고 사장단은 지난 22일 열린 운영심사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유입부동산 처리방향을 최종 확정하고 다음달 3일 열리는 심사회에서 세부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금고업계는 공동판매 전시장으로는 강남에 소재한 시지부 건물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며 매입을 원하는 고객에 대해서는 경락잔금대출 방식을 도입해 매입가격의 50%에 해당되는 금액을 실세금리로 대출해 줄 방침이다.
김경길 서울시지부장은 “업계 공동으로 유입물건 소개 책자와 사진 스크랩을 제작할 예정”이며 “운영심사회에서 세부안이 확정되는대로 유입물건 판매를 전담할 관리인 선임도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금고업계는 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 수요가 줄어들면서 경락률이 급감하자 원금손실을 줄이기 위해 경매 물건을 잇따라 유입해 왔다. 특히 고정이하 자산에서 제외돼 자산건전성 분류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전략적으로 유입을 유도한 곳도 적지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업체별로는 지난해 6월말 현재 부국금고가 가장 많은 6백57억원의 유입물건을 보유중인 것을 비롯, 국민 1백82억원, 동부 95억원, 제일 97억원, 푸른 85억원, 한솔 62억원, 우풍 46억원, 조흥 24억원등 대부분 금고가 50억원을 넘어서고 있다.
신금업계는 이와 관련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무수익자산 처리와 자금운용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신익수 기자 soo@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