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에 따르면 코빗 리서치센터는 미국 대표 가상자산 기업인 코인베이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SWOT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시장도 ▲규제 역량 강화 ▲기관 고객 맞춤형 서비스 개발 ▲수익 구조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는 제도 기반이 마련되고 기관 참여가 확대되는 과도기적 단계다. 이에라 코인베이스 사례를 통해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또한, 미국 상장법인의 비트코인 보유 현황 분석을 통해서 가상자산 전문법인은 물론 일반 법인도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예를 들어, 갤럭시 디지털 같은 전문법인은 사업 수익 또는 유보 자금을 통해 비트코인을 확보하고 있으며, 스트래티지(STRAT)와 같은 일반 기업도 전환사채 및 주식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해 장기 보유 전략을 취하고 있다. 특히 2024년 초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후, 금융기관의 간접 투자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리서치센터는 이 같은 해외 사례를 토대로, 국내 상장 법인이 가상자산에 투자할 가능성이 높은 요인을 분석했다. 총자산 규모가 크고 잉여 현금 흐름이 충분하고 투자 활동이 활발한 기업일수록 가상자산 보유 유인이 높다고 평했다. 이는 향후 정책 설계 시 단순 허용을 넘어 정교한 투자 수요 분석과 재무 건전성 확보,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 등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코빗리서치센터는 강동현, 이선영, 정지성 연구원이 공동 작성한 이번 리포트를 통해 “일반 법인과 금융기관의 전면 허용은 중장기 과제로 남아 있지만, 법인의 시장 참여가 본격화될 전기가 마련된 것은 분명하다”며, “이번 리포트가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 허용으로 새롭게 열릴 기회를 모색하는 법인과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키 바란다”고 밝혔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