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정부 주도 ‘독자적인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출사표를 던졌다. / 사진=KT
KT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모두를 위한 한국적 AI, K 믿:음' 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범용성과 실수요 기반의 특화 모델을 결합한 독자적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에 나선다. 이를 통해 전 국민의 AI 접근성을 높이고 공공 분야 AI 대전환을 이끈다는 목표다.
KT는 솔트룩스, 크라우드웍스, 매스프레소, 투모로 로보틱스, 경찰청, 고려대 의료원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또 서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AI 전문 연구진이 참여하며 강력한 민관학 연합체 AI 원팀이 탄생했다.
컨소시엄 주관사 KT는 210B 파라미터 규모의 AI 모델을 독자 기술로 개발해 낸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1000명이 넘는 AI 인재도 확보했다. 2023년 자체 개발한 AI 모델 믿:음을 국내 대기업 중 처음으로 오픈소스로 공개한 데 이어 올해 7월 자체 믿:음 2.0 오픈소스도 누구나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다.
KT 컨소시엄은 투모로 로보틱스 참여로 피지컬 AI까지 고려한 구성이 갖춰졌다. 투모로 로보틱스는 최근 산업부의 K-휴머노이드 연합 핵심 참여사로 범용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세계 무대를 겨냥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기업 외에 경찰청과 고려대 의료원 등 기관들이 참여한 점도 KT 컨소시엄 차별점이다. 해양경찰청, 헌법재판소, 국내 대표 법무 법인(린·세종·율촌) 등 실제 수요 기관과 리벨리온, 모빌린트, 하이퍼엑셀 등의 국내 AI 반도체 어벤져스 기업들도 협력한다.
AI 반도체 분야 권위자 하버드대학교 위구연 교수와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분야 대표적 연구자인 워싱턴대 이수인 교수 등 세계적 석학들도 AI 원팀 자문에 참여한다.
KT는 이번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통해 여러 방면의 산업적, 사회적 파급 효과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로 구성된 KT AI 원팀이 대한민국 국가 대표 AI 기술뿐만 아니라 국내 AI 대중화와 생태계 확산까지 선도하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