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독신청
  • My스크랩
  • 지면신문
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신한은행, 디지털혁신 노력에도 IT문제 '답보'…과부하 우려도 [금융권 IT모니터]

장호성 기자

hs6776@

기사입력 : 2025-07-22 15:51 최종수정 : 2025-07-22 17:23

반복되는 내부 전산망 장애, 신한 비대면 잦은 오류 노출
1년새 3배 불어난 신한SOL 이용객, 디지털 잰걸음 부작용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신한은행, 디지털혁신 노력에도 IT문제 '답보'…과부하 우려도 [금융권 IT모니터]
[한국금융신문 장호성 기자] 지난 18일, 신한은행에서 내부 전산망 오류로 인한 1시간 30분여간의 서비스 먹통 사태가 발생했다.

신한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방카슈랑스 전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한 것을 비롯해, 금융권에선 최초로 금융업무에 인공지능(AI) 도입을 위한 자체 대형언어모델(LLM:Large Language Model)을 개발해 관련 금융 서비스를 선보일 정도로 디지털 혁신에 잰걸음을 내고 있다.

그러나 그 실제 디지털 뱅킹에서는 잦은 전산망 장애로 인한 오류가 발생하고 있어, 급진적인 전환으로 되려 문제가 생긴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오후 신한은행 홈페이지에 게시된 시스템 장애 관련 공지 / 사진=신한은행 홈페이지 갈무리

18일 오후 신한은행 홈페이지에 게시된 시스템 장애 관련 공지 / 사진=신한은행 홈페이지 갈무리

이미지 확대보기

계통간 정보호환 오류 가능성…외부 침투 흔적은 없어
지난 18일 오후 3시경 신한은행 홈페이지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통신오류로 이체·출금 등의 비대면거래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먹통이 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신한은행의 온라인·모바일 뱅킹, ATM, 체크카드, 공모주 청약 등 고객 서비스 전반이 중단되면서 신한은행 거래 금융소비자들이 불편을 겪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신한SOL뱅크 앱에서는 ‘대외기관과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아 일부 서비스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 ‘모듈의 입출력 구조체 정보가 변경되었습니다’ 등의 문구가 고객들에게 송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해당 문구는 각 전산 계통간의 정보 호환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 송출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컴파일링(인간이 입력한 코드를 기계가 알아듣는 언어로 변환하는 작업)을 시도했지만 누락된 곳이 있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표현”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사고 원인에 대해 신한은행 측은 ‘내부 전산장애’를 꼽았다. 신한은행은 국내 시중은행 최초로 코어뱅킹을 디지털화해 자사 앱인 ‘신한SOL’의 속도를 글로벌 수준까지 끌어올렸지만, 이 과정에서 계정계와 채널계 사이에서 오류가 발생하며 이번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의 IT 구조는 크게 계정계와 채널계로 나뉜다. 계정계는 기존의 코어뱅킹 업무 분야로, 계좌개설 및 폐쇄, 입출금과 계좌이체 등이 포함된 핵심적인 시스템이다. 채널계는 대외 시스템 및 비대면채널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역사가 계정계보다는 짧다. 채널계에는 모바일뱅킹, 인터넷뱅킹, 콜센터 등이 포함되는데, 최근 비대면채널 중요성이 커지며 채널계의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최근 SGI서울보증에서 발생한 사고로 금융권의 경각심이 커진 상태에서, 신한은행은 침투 경로 분석을 통한 보안정책 점검을 즉시 실시했다. 신한은행은 망분리를 통한 이메일/USB의 악성코드 유입 감염 사전통제 운영 중으로, 조사 결과 전 서버 내 관련 랜섬웨어 백신검사 진행 후 검사결과 감염건수가 0건인 것을 확인했다.

최근 5년 신한은행 주요 전산장애 사례

최근 5년 신한은행 주요 전산장애 사례

이미지 확대보기
이용자 1년새 3배 넘게 늘었는데...끊이지 않는 '전산 오류'
금융보안이 더욱 중요해지는 지금, 외부 침입이 없었던 것은 다행이지만 내부 전산 오류 역시 좌시할 수 없는 문제다.

웹과 앱을 활용한 디지털뱅킹, 비대면금융서비스 이용자 수가 갈수록 늘고 있어서다.
신한금융그룹의 ‘신한SOL’ 어플의 월간 활성화 이용자(MAU)는 2023년 131만명에서 2024년 608만명으로 무려 전년대비 364%나 급증했다. 올해 1분기에는 이보다 더 커진 981만명으로 늘어나며 가파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신한은행의 전산오류로 인한 장애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도 심각성을 더한다.

신한은행 뱅킹 앱에서는 2021년 1월, 2022년 3월·9월·11월, 2023년 5월·8월 등 접속 장애 및 전산 오류가 끊임없이 발생했었다.

2023년 기준 신한은행의 전산장애 발생 건수는 32건으로 시중은행 중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문제의 원인에 대해 "시스템 개시 전, 과부하에 대한 충분한 검증과 대비가 부족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신한금융그룹은 지난 2018년 신한금융그룹의 디지털 앱인 ‘SOL’ 브랜드를 론칭했고, 신한은행은 이에 맞춰 기존 신한은행의 앱을 통합한 ‘신한SOL’ 뱅킹 앱을 출시했다.

2022년 10월에는 서버 클라우드 전환을 실행하며 UX 성능을 개선시킨 ‘신한 뉴SOL’을 내놓았고, 지난해에는 계열사 금융 서비스를 담은 슈퍼앱 '신한 슈퍼SOL'을 선보였다.

계속되는 디지털금융 업그레이드를 통해 서비스 다양화와 UX 개선은 이뤘지만, 가장 중요한 '안정성'을 놓쳤다는 지적이다.

문제가 이어지자 신한은행은 지난해 대대적인 디지털 혁신을 추진, Tech그룹 내 신설된 Tech혁신단을 통해 클라우드 분야 인프라를 개선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KT클라우드 출신 이국희 단장을 외부영입해 선임했고, 지난해 말에는 임원인사를 통해 ICT분야에 경험이 풍부한 윤준호 부행장을 Tech그룹장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한 ‘슈퍼SOL’ 론칭 이후 빠르게 늘어난 비대면채널 이용객을 감당하지 못해 부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1분기 기준 신한금융그룹 주요 금융플랫폼 월간활성화이용자(MAU) 수 / 자료=신한금융

올해 1분기 기준 신한금융그룹 주요 금융플랫폼 월간활성화이용자(MAU) 수 / 자료=신한금융

이미지 확대보기

일각에서는 이 같은 전산 오류가 신한은행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의견도 나온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국내 금융업권 전산장애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20년~2025년 5월까지 발생한 전산장애는 총 1763건으로 나타났다.

전산장애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20년 238건, 2021년 289건, 2022년 327건, 2023년 347건, 2024년 392건으로 늘었다. 올해만도 5개월간 170건의 전산장애가 이미 발생했다.
행,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은행들이 비대면채널 확산에 대비해 서버를 늘리고 전산망을 고도화하고는 있지만, 아무래도 사람이 하는 일이다 보니 미처 챙기지 못하는 사고가 원천차단되지는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IT 전문가는 육성이 어렵고, 경력 인재를 신규 채용하는 것도 쉽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는 설명이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KT&G ‘Global Jr. Committee’, 조직문화 혁신 방안 제언
대내외에서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은 KT&G
국어문화원연합회, 578돌 한글날 맞이 '재미있는 우리말 가게 이름 찾기' 공모전 열어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