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동 수는 조합원안(12개 동)에서 3개 동을 축소한 9개 동으로 재구성했다. 이를 통해 동 간 간섭 최소화와 막힘없는 한강 조망이 가능하고, 단지 전체의 채광과 통풍도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용산정비창 조합원들을 위해 차별화된 설계를 제안한 모양새다. 반면 수주 경쟁을 펼치고 있는 포스코이앤씨의 경우 조합안 그대로인 12개 동으로 결정했다. 이에 한강 조망이 가능한 세대는 513가구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 조합원안 524가구에 미치지 못한 점이 아쉽다고 평가된다.
현대산업개발이 제안한 세대 내부는 ‘한강이 보이는 집’을 넘어, ‘어디서든 한강을 체감할 수 있는 주거 공간’으로 설계했다. 전 세대에 2면 한강 조망이 가능한 혁신 평면을 도입했고, 욕실에서도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세대가 총 444세대에 달한다. 이는 조합원 수를 훨씬 웃도는 수치로, 단면 조망에 그친 포스코이앤씨의 설계와는 차별화된다.
또한 거실에는 2.5m 초광폭 창호를 적용하고, 창 전체 면적도 약 1.4배 넓어 한강의 풍경과 개방감을 생생하게 누릴 수 있다. 단지의 스카이브릿지는 여의도–노들섬–이촌한강공원까지 이어지는 파노라마 뷰 방향으로 배치해 커뮤니티시설에서도 한강을 만끽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같은 한강변 아파트라도 한강 조망 여부에 따라 수억 원대의 시세 차이가 난다”며, “프리미엄 주거단지를 중심으로 조망은 단순한 전망을 넘어 주거의 본질과 투자가치의 핵심요소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HDC산업개발 관계자는 “서울의 미래가 될 용산정비창은 한강과 가까운 입지를 갖춘 핵심지역으로 탁 트인 조망권 확보가 설계의 핵심 과제였다”며 “용산정비창의 가치를 높이고, 조합원은 물론 최대한 많은 주민들이 한강을 조망할 수 있도록 세대구조와 및 창호 설계, 동 배치 등을 꼼꼼하게 검토하고 모든 설계 역량을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HDC현대산업개발의 이번 설계는 ‘조망을 통한 가치 차별화’를 실현한 고급 주거단지의 새로운 기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은 한강과 맞닿은 마지막 대규모 개발지로서, 향후 국제업무지구와 문화·상업·주거 기능이 어우러진 서울의 미래 랜드마크로 거듭날 전망이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