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는 통합 연구거점을 구축한 배경으로 인도 자동차 시장의 급성장을 꼽았다. 특히 인도 자동차 시장이 과거 소형차 중심에서 SUV나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대형 디스플레이나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같은 자율주행 2단계 신기능 적용이 활발해지는 추세다. 이에 따라 현대모비스는 인도연구소를 글로벌 수주 확대를 위한 전략 요충지로 부상시키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인도연구소의 풍부한 소프트웨어 개발인력을 바탕으로 제품 원가 경쟁력과 성능, 품질과 기술을 견인하는 연구개발 허브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하이데바라드 인도연구소 인근 차량용 소프트웨어 업체와 협업하여 외부 생태계를 조성하고, 우수 인재들을 지속적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인도연구소를 독자적인 사업역량을 갖춘 글로벌 소프트웨어 허브로서 육성하고, 나아가 해외 완성차를 대상으로도 통합솔루션을 제공하는 전진기지로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현대모비스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SDV) 트랜드를 반영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통합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통합플랫폼은 고객사와 차량 세그먼트별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맞춤형 시스템이다. 글로벌 고객사의 개발비 절감과 연구개발환경 편의성을 지원하는 원스톱(One-Stop) 솔루션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종근 현대모비스 인도연구소장 상무는 “인도연구소는 개발자 풀이 넓어 새로운 연구개발 시도가 많이 이뤄지는 곳”이라며 “20여년에 가까운 양산차종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고도화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제품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