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25일 박충현 은행담당 부원장보 주재로 주요 10개 은행 부행장과 '은행권 자금 조달·운용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한국금융DB
금융감독원(원장 이복현닫기이복현기사 모아보기)은 25일 박충현 은행담당 부원장보 주재로 주요 10개 은행 부행장과 '은행권 자금 조달·운용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은행권 자금 조달과 가계·기업대출, 외화유동성 현황 등을 점거하고 향후 위험 요인과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박 부원장보는 현재 은행권의 자금조달 및 운용, 외화유동성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을 감안해 외형 확대 경쟁보다는 안정적 유동성관리에 중점을 둘 것을 당부했다.
그는 "은행채 발행제한 완화가 채권시장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가급적 발행규모와 시기를 세심히 관리하고 외화유동성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은행들은 지난달 당국이 발표한 가계대출 관리대책 이후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면서, 4분기에도 증가 폭을 7∼8월 대비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금리 할인과 만기 확대 등의 영업 우선 전략보다는 차주 대출 심사 강화 등을 통해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박 부원장보는 "가계대출이 실수요자 위주로 적정수준 공급될 수 있도록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은행권 가계대출 현장점검 결과 후속 조치 등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