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양유업 신제품 ‘초코에몽 초코 쭈쭈바’ /사진=남양유업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남양유업의 상반기 매출액은 5011억원으로 전년(4690억원) 대비 6.8% 증가했다. 영업손실도 224억원으로, 전년(422억원) 대비 46.9%나 줄이는데 성공했다. 당기순손실도 211억원으로 전년(276억원) 보다 적자 폭을 감소시켰다. 이로써 3년 만에 연매출 1조원을 회복할 수 있을지 기대감이 쏠린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유제품 내수 판매 호조가 매출 증가로 이어져 전년보다 소폭 증가했다”며 “단백질음료인 ‘테이크핏’이나 식물성음료인 ‘아몬드데이’ 등 신제품에 대한 적극적인 마케팅 역시 매출로 연결됐고, 판관비를 절감해 실적을 상당부분 개선시켰다”고 했다.
남양유업은 2010년대 매출 1조원을 넘겼고, 2014년부터는 5년 연속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그러나 2020년대 들어 저출산 기조가 심화됐고, 남양유업의 불가리스 코로나 예방 효과 관련 설화가 맞물리면서 적자 전환했다. 2020년 매출액은 9489억원으로 처음 1조원을 밑돌기 시작했다. 영업손실도 771억원을 내며 6년 만에 적자에 휩싸였다. 2021년도 매출액 9561억원, 영업손실 779억원으로 적자가 불어났다. 작년에도 매출액 9646억원, 영업손실 868억원으로 적자 폭은 계속해서 높아져만 갔다. 그러나 올해 들어 분위기는 급격하게 반전되기 시작했다.
남양유업은 올해 1분기 매출이 2400억원, 영엽손실 157억원을 냈다. 이는 전년 분기(-222억원)보다 적자 폭을 41.6%나 감소시킨 수치다. 2분기 역시도 2600억원의 매출을 기록, 상반기 매출 5000억원 달성에 성공하며 연매출 1조원을 회복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상반기 영업손실도 적자 폭을 46.9%나 메꿨다. 남양유업의 적자 전환은 3년째 장기화되고 있는 경영권 분쟁과도 맞닿아 있다. 남양유업은 2021년 4월 자사 발효유 제품인 '불가리스'에 코로나 억제 효과가 있다고 해 허위·과장광고에 대한 비판을 불렀다. 홍원식닫기

실제로 남양유업은 지난해 6월 고함량 단백질 음료 ‘테이크핏 맥스’를 출시한 후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같은 해 9월에는 식물성음료 ‘아몬드데이’를 론칭, 캐릭터나 CM송도 만들어 단순 마케팅이 아닌 소비자 참여형 이벤트를 펼쳐왔다. 이후 당류를 없애고 칼로리를 낮춘 ‘카페믹스 스테비아’, 어린이용 유산균 음료 ‘이오 유산균음료 미니’, 기존 17차에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성분까지 추가한 ‘17차 효소’ 등을 잇달아 공개했다. 유당불내증을 호소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락토프리 떠먹는 플레인 요거트’도 내놓았다. 최근에는 자사 스테디셀러인 ‘초코에몽’을 아이스크림으로 바꾼 ‘초코에몽 초코 쭈쭈바’도 출시했다. 기업을 소비자가 원하는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유업계 트렌드도 주도해온 것이다.

남양유업, 미혼모 생활시설 애란원 임직원 봉사활동. /사진=남양유업
이와 관련, 남양유업 관계자는 “초코에몽 같은 장수 브랜드를 아이스크림이나 빵으로 만들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거나 아몬드데이, 테이크핏 같은 신사업에도 강화하고 있다"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해 취약계층에 대한 후원과 봉사도 이어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