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준 한국투자증권(대표 정일문닫기

이어 “지난 2016년 7월 중국의 사드 보복이 진행되기 전까지 중국인 여행객은 한국 내수시장의 가장 큰 손”이라면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연평균 중국인 입국자 수는 672만명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 2017년 사드 규제 충격의 영향으로 2019년까지 중국인 입국자 수는 26% 감소한 500만으로 줄었으며 코로나19 확산과 방역 강화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는 36만명으로 급감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지난주부터 한국행 단체여행 규제를 풀면서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김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한국행 단체여행 규제를 풀면서 과거 한국 시장의 소비 진작에 크게 기여했던 중국인이 복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이미 명동, 홍대 등 서울 주요 관광지에선 중국인의 발길이 늘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으며 시간이 갈수록 중국인 여행객은 국내에서 더 많이 보이게 될 것”이라며 중국 인바운드 소비주의 회복세를 전망했다.
그는 “올해 6월 기준 16만8000명까지 늘었던 중국인 입국자 수가 코로나19 유행 전인 지난 2019년 12월 수준으로 회복하면 지금보다 3배 이상 많은 중국인이 국내에서 지갑을 열 수 있다”면서 “이미 ▲화장품 ▲의류 ▲엔터 ▲레저 ▲카지노 등으로 구성된 인바운드 소비주의 주가는 올랐지만, 뚜렷한 상승세는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중국인의 소식이 더 많이 들릴수록 인바운드 소비주의 오름세도 강화될 것”이라며 “테마를 중심으로 개인 자금이 빠르게 이동하는 상황에서 중국 인바운드 소비주는 포트폴리오에 넣어야 할 대상”이라고 제시했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