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매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에서 30대 매수 건수는 지난해 11월 171건으로 바닥을 찍은 후 12월 232건, 1월 305건으로 3개월 연속 상승세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부터는 40대 매매 건수도 추월했다.
서울은 2019년 연령별 매수 통계가 나온 이후 줄곧 30대의 매수 건수가 40대 등 타 연령대보다 많은 지역이다.
서울 전체에서 30대 매수 비중은 ▲2019년 28.8%(전국 기준 24.0%) ▲2020년 33.5%(24.3%) ▲2021년 36.4%(24.8%)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28.2%(22.3%)로 소폭 낮아졌다. 반면 40대 매수 비중은 줄고 있다. ▲2019년 28.7% ▲2020년 27.5% ▲2021년 26.4% ▲2022년 23.6%로 하향세다.
청약 시장에서도 ‘추첨제’ 물량이 나오면서 30대 매수세는 더 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3 대책에 따라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서 추첨제 비율은 전용면적 85㎡ 이하는 60%, 85㎡ 초과는 100%다. 특히 청약은 통상 분양가의 10% 정도인 계약금을 내면 당장 들어갈 돈이 없고, 중도금과 잔금 등으로 나눠서 내는 분할매수 전략이 가능해 젊은 층의 선호도가 높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대출 금리가 낮아지고 특례보금자리론 등이 출시되면서 구매 부담이 줄었고, 급매물도 많이 나오면서 30대가 적극적인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며 “30대의 내 집 마련 의지가 여전히 높고 청약 추첨제를 노리는 수요도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북구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금리가 조금씩 안정기에 접어들고 있고, 특례보금자리론이 등장하면서 20, 30대 젊은층에서 매매문의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라며 “정부의 1.3대책 발표와 각종 규제 완화로 내 집 마련의 의지가 커지고 있다. 현 기조라면 20~30대 거래량이 더 늘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