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재정·금융 정책은 취약부문 지원에 선별적으로, 통화정책은 전반적인 경기상황에 따라 구사하는 정책 조합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6일 금융위원회와 한국금융연구원은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코로나19 위기 전개와 금융정책 추진경과를 짚어보고 향후 금융정책 대응기조에 대해 논의하는 ‘코로나19 대응 금융정책 평가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한국금융연구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됐다.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날 심포지엄에서 ‘코로나19 이후 경제·금융여건 및 주요국 정책대응 현황’이라는 주제 발표를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인한 실물경제의 충격은 예상보다 상당히 컸던 것으로 판명났다”라며 “지난해 초 세계경제 전망률은 3.3%로 예상됐으나 실제로는 6.6%포인트 낮은 -3.3% 경제성장을 시현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하지만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과감한 정책 덕에 금융시장이 빠르게 안정세로 돌아섰고, 세계경제 역시 반등하고 있다”라며 “특히 각국 중앙은행의 빠른 기준금리 인하와 유동성 공급, 원리금 상환유예, 금융규제 일시적 완화 등 과감한 통화·재정·금융정책이 큰 효과를 발휘했다”라고 평가했다.
다만 선진국과 신흥국 간 회복 속도에 차이가 날 수 있는 만큼, 이에 맞는 각국의 통화·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미 연방준빚제도(Fed)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 등으로 금리인상 시그널을 보내고 있다”라며 “일부 국가는 이미 점진적 정상화 단계에 진입, 이에 맞는 적절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취약 부문 지원은 선별적 정책이 가능한 재정·금융정책을, 전반적인 경기 상황에서는 통화정책을 펴는 정책의 조합을 구사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라며 “코로나19 지원을 위한 일시적 긴급조치의 단계별 환원계획이 마련돼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금융당국은 일시적 프로그램 종료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라며 “아울러 국제 금융환경 변화를 고려한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한 은성수닫기

은 위원장은 “"코로나19 위기 이후 찾아올 또 다른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라며 “가계와 기업이 자체적으로 과잉부채를 줄여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대형 금융위기 이후엔 '위기의 여진'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했다”라며 “가계와 기업 등 민간 스스로 과잉부채, 위험 추구행위를 정상화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금리가 올라도 상환능력에 문제가 없는지 재무 건전성을 점검해야 한다”라며 “정부도 시장과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점진적·단계적으로, 정교하게 정상화를 추진해가겠다”고 밝혔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