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019년 이후 2년간을 전후로, 한국이 ▲생산유발액 1조2000억원 감소 ▲부가가치유발액 5900억원 감소 ▲취업유발인원 1만3300명 감소 등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 기간에 발생한 코로나19 경제타격을 제외한 수치다.
이는 한국무역협회의 한국 교역(수출·수입) 데이터를 분석한 것에 기반한다.
2019~2020년 한국의 세계 교역액은 2017~2018년 대비 7.6%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일본(-11.9%)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중국과 EU는 각각 4.7%, 4.8% 감소했다. 반면 미국과 교역액은 6.3% 증가했다.
악화된 한일관계는 양국간 직접투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경연이 분석한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일본직접투자 순투자액(제조업)은 2017~2018년 1억6800만달러에서 2019~2020년 1억2500만달러로 26% 감소했다. 같은기간 한국의 전체 해외직접투자액이 29% 증가한 것과는 정반대다. 마찬가지로 일본의 한국에 대한 직접투자도 62%나 감소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양국간 정치·외교 분쟁이 경제 갈등으로 전이되는 양상"이라며 "한일 정부는 조속한 관계 정상화 노력으로 경제적 악영향을 차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 대법원은 2018년 10월 일본제철·미쓰비시중공업 등 일본기업이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그러자 일본 정부는 2019년 7월 주로 한국기업이 의존하던 일본산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소재에 대한 보복성 수출규제 조치를 내렸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