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M면세점 인천공항점. /사진=SM면세점 홈페이지 갈무리
5일 SM면세점은 "이번 입찰을 재검토한 결과 인천공항의 높은 임대료와 정부의 코로나19 지원 배제로 (공항 면세점 운영시) 경영악화에 따른 후유증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했다"고 입찰 포기 의사를 밝혔다.
SM면세점은 현재 인천공항 제1·2여객터미널 출국장과 T1 입국장 면세점을 운영 중이다. 지난달 제4기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면세점서 중소중견 사업자 할당 구역에 입찰제안서를 제출했으나 결국 물러나기로 했다.
SM면세점의 이같은 결정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영 악화 △정부의 임대료 지원 정책 대상서 배제 △인천공항의 높은 임대료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SM면세점은 "코로나19 사태로 입·출국객이 전무한 상황"이라며 "(그 가운데) 인천공항공사와 정부의 제한된 지원 정책은 중소기업으로 시작한다"고 사정을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달 27일 인천공항을 비롯한 공공기관 내 입점한 업체의 임대료를 6개월간 25~30% 인하한다는 대책을 발표했으나, 여기에 중견기업과 대기업 면세사업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SM면세점은 중견기업으로 분류된다.
인천공항의 높은 임대료도 입찰 포기의 원인이다. SM면세점은 "당사가 위치한 게이트의 출국객수는 전년 동기 대비 44.7% 줄어들었다"며 "임대료 조정 없이 (현 수준의) 임대료 예정액으로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 및 인천공항공사에 임대료 조정을 재요청 드린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SM면세점 T1 인천공항점 매출은 27억2000만원으로 지난해 2월(57억8000만원)대비 52.9% 급감했다. 입국장 면세점 역시 지난달 매출이 20억7000만원으로 54.9% 줄어들었다.
SM면세점은 "천재지변으로 보이는 사회재난 속에서 정부의 지원 배제는 입찰 성공보다는 현재 운영 중인 사업구역의 어려움이 지속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우선임을 재확인시켜줬다"며 "현재 운영 중인 사업권에 대한 입찰을 포기하여 아쉬움이 많지만, 현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했다"고 전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