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 따르면, 허인닫기




행장들은 DLF 사태를 언급하며 소비자 보호, 고객 신뢰 회복을 강조했다.
이동빈닫기

이대훈 농협은행장은 "금융 기관의 가장 큰 덕목은 신뢰이며, 한 번 실추된 고객의 신뢰는 회복하기 어렵다"라며 "금융소비자 권익 증진을 위해 고객정보 보호와 내부통제에 항상 만전을 기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손태승 우리은행장도 DLF 사태 반성을 언급하며 "이러한 뼈저린 교훈을 되새겨, 변화와 혁신을 통해 고객 중심의 문화를 구축하고 고객중심 영업을 추진하겠다"라며 "앞으로 점질에 맞는 자율영업을 정착시키고, 고객으로부터 신뢰받는 금융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은 전문 역량을 키우겠다"고 밝혔다.
고객 중심을 전략 목표로 설정하기도 했다.
진옥동 신한은행장은 신년사에서 "2020년 새해 전략목표를 '고객중심! 신한다움으로 함께 만드는 가치'로 정했다"라며 "Good-Service로 CS의 개념을 다시 한번 가다듬고, 금융소비자보호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초개인화시대에 맞는 자산관리 체계 구축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픈뱅킹 시대, 저금리 진입 등으로 디지털 혁신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허인 행장은 "수익성 가뭄과 제3 인터넷 뱅크 같은 새로운 경쟁자의 지속적 출현, 그리고 오픈뱅킹, 마이데이터 같은 소비자 중심 경쟁환경의 도래는 은행업의 정의를 다시 써야 할 만큼 근본적인 혁신을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다"라며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디지털 혁신 성과 창출’을 올해 과제로 꼽았다.
허인 행장은 "이번 상반기 인사부터 ‘AI기반의 알고리즘’에 의한 영업점 이동∙배치가 시도되고 상반기 중으로는 클라우드 기반 ‘신 HR 플랫폼’ 구축과 연계하여 인사 제도상의 혁신적 변화와 함께 쌍방향의 직원 소통 노력을 시작할 계획"이라며 "2020년은 KB의 ‘3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성과가 가시권에 들어오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진옥동 행장은 "조직 문화와 인력의 디지털화를 통해 내부 시스템 전반을 가다듬어 가다듬겠다"라며 "뛰어난 디지털 역량은 상품과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업무 프로세스를 효율화하는 과정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대훈 행장은 "무엇보다 디지털금융 주도권을 보유해야 지금의 치열한 경쟁구도에서 앞서나갈 수 있다"라며 "비대면 상품 및 서비스의 질과 생활 편의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고객에게 직관적이고 편리한 이용 환경을 제공하는 등 고객중심 디지털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동빈 행장은 "작년 12월에 확대개편된 디지털금융본부를 주축으로 전행차원의 디지털혁신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며 "본부부서에서부터 전 영업점에 이르기까지 수협은행인 모두가 디지털마인드로 무장하고 끊임없이 학습하고 변화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서현주 제주은행장은 "시대적 변화에 맞춰 ‘Digital 은행으로의 Transformation’을 더욱 확대하고 실행을 가속화 해야 한다"라며 "Digital 기반의 영업력을 더욱 활성화하고, 디지털 실질이용고객 기반을 확대하는데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 확장으로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대훈 행장은 "개인·기업여신, 투자금융 등 권역별 특색 있는 사업을 추진하고 농업금융 특화모델을 발굴·정착하는 등 농협은행만의 차별화된 글로벌 사업을 가속화 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허인 행장은 "동남아 신흥국과 선진 금융시장에서 ‘KB의 존재감’을 높여 나가는 일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하고자 한다"라며 "글로벌 진출 사례를 본보기로 삼아 유기적 성장과 M&A 등의 비유기적 성장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진옥동 행장은 "글로벌 전략은 베트남과 일본 등 경쟁력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초격차를 이루기 위해 현지 고객의 니즈를 핵심으로 강력한 성장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