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 트렌드 코리아 2018에서 삼성SDI 배터리가 탑재된 BMW i3가 전시됐다. (출처=블룸버그, gettyimages)
전기차 배터리는 '제2의 반도체'라고 불릴 만큼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올해 사업 전망도 밝다.
하지만 기술력을 갖춘 일본과 자국 산업 보호정책을 바탕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사이에서 국내 기업이 '넛크래커' 신세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중국과 일본에 시장주도권을 뺏기지 않기 위해 기술추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7일 발간한 보고서 '전기차 시대, 배터리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과제'에는 이같은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에서 한경연은 전기차 배터리 분야 전문가(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전문가) 25명에게 한중일 3국의 산업 경쟁력에 대해 물었다. 비교 부문은 기술경쟁력, 시장점유율, 성장 잠재력, 사업환경 등 4가지다.
그 결과 한국의 배터리 산업 경쟁력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점 만점에 중국 8.36, 일본 8.04, 한국이 7.45 순이었다.
실제로 2014년 30%를 웃돌던 한국 배터리 기업의 점유율은 2018년 11%대에 불과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한다.
CATL, 비야디 등 중국기업은 자국 정부의 보호 속에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중이다. 일본 파나소닉은 전기차 대중화를 주도하고 있는 테슬라 등 안정적인 공급처를 확보하며 점유율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한경연은 "이번 평가는 최근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넛크래커 신세가 될 수 있다는 국내 산업계의 우려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부품소재 기술투자 확대’(37.3%)가 가장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음으로는 ‘핵심재료 안정적 확보’(22.7%), ‘제도적 지원 강화’(21.3%)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그 밖에도 국내 수요기반을 확대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해야한다는 기타 의견도 있었다.
한경연은 "국내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기술 ‧ 재료 ‧ 인프라 3요소를 갖춰야 한다"면서 "정부는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산업 생태계 조성, 전문 R&D 인력 확보를 병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