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운 털 제대로 박혔던 변액보험…증시 호황 타고 자금 유입
2001년 국내 처음 도입 이후 지금까지 변액보험은 천덕꾸러기 신세였다. 수수료(사업비)가 비싸고 시장흐름에 맞는 펀드 변경 등 적절한 관리도 되지 않아, 수익률이 저조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다시 변액보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생명보험협회의 변액보험 초회 보험료 추이 자료에 따르면 2013년 5,306억원이던 것이 2017년 1조 133억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자금유입도 꾸준해 지난 1분기 생보사 전체 변액보험 수입보험료는 5조 30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폭 늘었고 해마다 규모를 키우고 있다.
저금리로 인해 고객이 저축보험 공시이율에 점점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반면 변액보험은 과거 5% 이상이었던 수수료(사업비)가 지금은 방카슈랑스 거치형 기준으로 저축보험 수준(2.5%내외)까지 낮아져 환급률이 높아졌고, 추가납입 2배를 통해 수수료도 1/3 수준까지 낮출 수 있어 매력도가 올라가고 있다.
또 과거 변액보험의 경우 판매 후 고객, 보험사, 판매사 모두 펀드관리에 소홀해 수익률이 저조했던 문제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보험사마다 적극적인 펀드관리에 힘쓰고 있다. 특히 로보어드바이저, AI, 운용사 일임, 자동자산배분 등을 통해 분기별, 월별, 주별 또는 수시로 시장 상황에 따라 펀드 자산배분을 알아서 해주고 있고, 중간에 고객이 원하면 펀드변경도 별도의 수수료 없이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최근 유행하는 ELS, ETF, 4차산업 관련, 해외 비과세, 고배당, 글로벌채권, 하이일드채권, 커버드 콜 등 각종 펀드가 대부분 탑재되어 있다. 일반 펀드로 하나씩 별도 가입할 필요가 없이 선호하는 펀드를 한가지 상품에 담아 운용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여기에 지난 1~2년간 주식시장이 호황을 맞은 것도 변액보험 외형을 키운 요인이다. 올해도 코스피시장이 우상향할 것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어서 변액보험 수익률은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보험사 내부적으로도 건전성 규제 강화 문제로 변액보험 영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위기다. 조만간 IFRS17 등이 시행되면 회계기준 변경으로 보험부채가 대폭 늘어날 수 있다. 보험사는 향후 고객에게 돌려줘야 할 보험부채 측정치만큼 준비금을 대거 적립해야 한다. 고객에게 돌려주기로 약속한 보험금이 많을수록 보험사의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변액보험이 해답이 될 수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변액보험은 현행 LAT 제도에서 다른 상품보다 준비금 부담이 적은 게 사실”이라며 “동시에 최근 주식시장도 활기를 띠면서 고객에게 변액보험을 판매하기 수월해졌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생명 수익률 발군, 해외자산 공격적 투자 주효
그렇다면 각 사별 수익률은 어떨까. 지난 6월 1일 기준, 주요 생보사 23곳의 변액보험 가중평균 수익률을 보면, 최근 5년 수익률에서는 미래에셋생명의 성적표가 뛰어났다. 미래에셋생명은 채권형, 채권혼합형, 주식형, 주식혼합형 등 4개 부문 가운데 주식형을 제외한 3개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주식혼합형이 25.4%였고 채권형과 채권혼합형은 각각 14%, 18.1%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생명의 선전은 해외 투자 비중을 높였던 게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미래에셋생명은 변액보험 자산의 63%를 해외에 투자했다. 보험업계 평균(7% 수준)을 엄청나게 웃도는 수치다.
7년 수익률의 경우 주식형에서는 메트라이프가 52.8%로 선두를 달렸고 주식혼합형, 채권형, 채권혼합형은 DB생명(25.4%), 교보(24.3%), 미래에셋(22.3%) 등의 순이다.
가중평균 5년 수익률이 25.4%라는 것은 쉽게 말해 2013년 5월 말 변액보험에 들었다면 현시점에서 평균적으로 이 정도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다. 가중평균 수익률은 전체 보험사의 변액보험펀드를 모두 합산해 조사한 결과다. 하지만 변액보험 수익률은 어떤 펀드를 포함시켰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개인별로 천차만별이라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김세중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성장성을 높이기 위해 보험사들이 변액보험 판매를 확대하고 있지만 종신보험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해지율은 높은 편”이라며 규모를 늘리는 데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가입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사업비 부과 방식을 변경하고 수수료 수준을 낮추는 신상품 개발에도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본 기사는 한국금융신문에서 발행하는 '재테크 전문 매거진'<웰스매니지먼트 8월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김민정 기자 minj@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