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PosMC 기술개발추진반 직원들이 경북 포항에 있는 포스코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에서 연속 조업 성공을 축하하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포스코.
슬래브는 열연강판이나 후판 소재로 사용하는 직사각형 모양 철강 반제품으로 두꺼울수록 만들기가 어렵다.
포스코는 지난 10여년의 연구 끝에 올해 1월 신설한 연주기로 연속 주조와 잉곳(ingot) 주조의 장점을 결합해 세계 최대 수준인 700mm 두께의 슬라브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종전의 유럽과 일본 철강사의 최대 생산 두께 600mm를 넘어서는 기록이다.
포항제철소는 자체 개발한 포스MC(PosMC) 기계를 이용해 상업화할 수 있을 만큼 700㎜ 슬래브를 연속으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포스코 측은 “이전에는 두꺼운 슬래브를 만든 뒤 식혔다가 다시 가열했으나 연속 생산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모두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700㎜ 슬래브를 이용하면 최대 233㎜ 두께의 후판재를 생산할 수 있다. 후판재는 대형선박 엔진 구조물 등에 사용하는 고급 철강재다.
오경식 PosMC기술개발추진반장은 “이번 연속조업으로 인해 PosMC연주기의 우수한 기술력과 생산성, 설비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설비뿐 아니라 원가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해 올해 하반기 상업 생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