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①] 새 영토 찾는 생명보험사… 온라인 보험 성장세 10년새 40%↑](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171030170716040917485f2aa125814310365.jpg&nmt=18)

* 암보험 주계약 40세 기준, 전체 평균 월납보험료는 29,425원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보험판매 방식에 변화를 일으켰다. 생명보험의 경우 설계사 채널은 평균 5.8%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온라인 보험은 40%에 가깝게 늘어 보험 영업 성장을 견인했다.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해 보험에 가입하는 소비자들 역시 2012년 57.5%에서 2016년 83.3%로 무려 25.8%p나 증가했다.
특히 CM채널 실적은 중소형사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CM채널 초회보험료 시장점유율은 중소형사가 71%, 대형사가 25%, 외국사가 4%를 기록했다.
각 사별로 살펴보면 2016년 기준 대면채널이 없는 교보라이프플래닛이 26억5000만원으로 선두를 기록했다. 이어 업계 최초로 온라인 생명보험을 판매한 KDB생명 25억4800만원이 뒤따랐다.
한화생명과 삼성생명도 각각 13억7600만원, 13억1900만원으로 나타났으며 동양생명 6억7200만원, 현대라이프생명 2억7400만원, 동양생명 6억7200만원 등도 견조한 실적을 거뒀다.
아직 CM채널을 출시하지 않은 NH농협생명 역시 연내 출시를 목표로 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CM채널의 주요상품인 암보험 보험료를 모집방법별로 비교한 결과 CM채널의 보험료가 전체 모집채널의 평균보험료보다 28%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업계에서는 CM채널 활성화가 보험 산업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을 내놨다.
먼저 보험사로서는 보험 상품 판매채널을 다각화하고 사업비절감 등 경영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생보업계 관계자는 “아직은 CM채널의 판매 비율이 전체 생보시장 내 차지하는 비중이 낮지만 온라인 금융 시스템에 익숙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향후 확장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민경 기자 aromom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