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순실 국정농단이 대한민국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급기야 대통령 탄핵으로 이어진 이래 정기인사나 조직재편 등을 미뤘던 정도에 그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한국 경제 미래경쟁력에 직격될 수 있는 글로벌 M&A까지 줄줄이 진공상태에 빠져들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달만 해도 삼성 경영공백 우려를 고려해 이 부회장을 제외한 나머지 임원의 경우 불구속 수사 방침을 거론했던 특검이 이번에는 박상진닫기

서울중앙지법은 16일 오전 10시 30분 한정석 영장전담판사가 심리를 개시한다. 구속 여부를 같은 날 밥 혹은 17일 오전에 결정할 전망이다.
앞서 법원은 뇌물공여 혐의 소명이 부족하다며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한 차례 기각했다. 그동안 특검이 보강수사를 벌인 부분이 얼마나 인정을 받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이같은 상황에서 경제계에선 법리해석과 무관하게 우리 사회에 고조된 반기업 정서가 법원의 판단에 영향을 끼친다면 삼성 경영정상화는 물론 미래전략실 조정과 같은 사회적 과제마저 표류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삼성은 이미 통상 12월 초에 단행했던 사장단 인사를 스톱시킨 상태다. 당연히 후속 임원 인사와 조직개편으로 이어져 조직에 활력을 일으켜 그 경영성과를 주주와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했지만 현재까지 초안도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올해 경영계획 확정은 물론 신입사원 공개 채용은 일정조차 잡지 못했고 장기적인 투자와 신성장동력 마련 방안 등에도 공백이 예상된다.
15일 오후 한 중견 제조업체 CEO는 한국금융신문과 통화에서 “삼성의 투자와 채용이 끼치는 전후방 연쇄효과를 생각할 때 최고의사 결정권자기 중요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상태가 장기화하면 사회적 국가적 손실로 이어지기 마련”이라며 “구속하지 않고 기소를 하더라도 성실히 재판받을 것이 분명해 보이는 만큼 대승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삼성 경영활동 공백은 이미 심각하게 진행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마케팅 활동의 기본인 제품 홍보 활동도 멈춘 상태다. 날마다 2~3건의 자료를 배포하던 삼성전자는 지난 11일 이후 단 한 건의 홍보자료도 배포하지 않고 있다.
아울러, 삼성이 인수하기로 한 하만의 임시 주주총회가 17일에 열리는데 이 상황도 비상이 걸렸다.
M&A의 유일한 대상자로 삼성을 지정한 안건에 대해 일부 소액주주들이 집단소송을 내면서 까지 반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만약 이 부회장 구속영장을 받아들일 경우 현지의 매각반대 여론이 더욱 강하게 분출 될 수도 있다.
물론 미국에서 소액주주들의 집단소송은 흔한 일이고 주요 주주의 결정이 끝났기 때문에 삼성전자와 하만 사의의 M&A가 틀어질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총수부재라는 리스크는 글로벌 비즈니스 규모가 월등히 큰 삼성전자 전체 실적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구속영장 청구를 법원이 받아들이게 되면 이 부회장은 당분간 혐의를 벗는 데 주력하게 되고, 그룹 전반의 현안은 전문경영인 중심의 비상 경영체제로 운영할 전망이다. 미래전략실 해체를 비롯한 각종 쇄신안과 신규 투자 등은 뒤로 미뤄진 채 현상 유지에 집중하는 소극적 기업활동에 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아름 기자 ajtwls07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