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 회장은 7일 저녁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ISA 시즌 2, 주니어 ISA, 학자금 ISA, 대출마련 ISA' 등 다양한 목적형 ISA를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ISA는 도입된 지 1년이 못되어 계좌 수가 반 토막으로 줄어드는 등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황 회장의 ISA 완결판 발언은 업계의 지적을 수용하고 돌파구를 찾으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황 회장은 "내년에 파생상품 시장도 달라질 것"이라며 "내년 3월부터 우정사업본부의 차익거래에 비과세가 적용되면 파생상품 시장의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는 우정사업본부 파생상품 차익거래에 증권거래세가 부과되고 있다.
또한 "내년에 퇴직연금도 국민연금처럼 기금형으로 도입되고 도시정비개발법 정비로 부동산신탁회사가 재개발 사업 등에 시행사로 참여하는 길도 열린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희진 사건 이후로 장외 주식 문제점 지적 등 정부와 불법 장외 시장 개선 방안 등을 협의해 장외 주식시장(K-otc) 활성화도 꾀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회장은 내년 협회의 주요 과제를 증권사들의 국내외, 업권 간 규제 철폐로 삼았다.
그는 "한국의 자산운용사가 외국보다 불리한 규제에 놓여 있는 것을 찾아 나서서 국내외 규제 차별 없애 나갈 것"이며 "증권업계가 은행 및 보험 비해서 세제상, 제도상 차별받는 부분을 찾아내서 업권 간 차별을 없애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황 회장은 "중 장기적으로 규정 중심 규제에서 원칙 중심으로 규제 체제를 바꿀 것"이라고 전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